캐나다 퀘벡州 퀘벡시티에 소재한 전문 제약기업 메디카고社(Medicago)가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사입자(VLP: Virus-Like Particle)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공표해 주목되게 하고 있다.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인 SARS-CoV-2의 유전자를 확보한 후 불과 20여일 만에 이 같은 성과를 도출했다는 것.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제조했다는 것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첫걸음이 떼어졌음을 의미하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메디카고 측은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전임상 시험에 착수할 예정이다.
전임상 시험이 마무리되면 메디카고 측은 보건당국과 협의회 올여름(7~8월) 임상시험이 착수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메디카고 측은 아울러 자사의 플랫폼 기술을 사용해 퀘벡시티에 소재한 라발대학 감염성질환연구소와 협력을 진행하면서 SARS-CoV-2에 대항하는 항체들의 개발에 착수했다.
라발대학 감염성질환연구소는 에볼라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을 준 게리 코빈저 교수가 총괄하고 있다.
이 SARS-CoV-2 항체들은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메디카고 측은 기대하고 있다.
연구는 캐나다 국립보건연구소(CIHR)로부터 연구비의 일부를 지원받고 있다.
메디카고는 앞서 인플루엔자 판데믹 상황이 발생했을 당시 대응역량을 입증한 천연물 기반 기술 분야의 선도주자 가운데 한곳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2009년 당시 메디카고는 불과 19일 만에 신종 인플루엔자 A형(H1N1‧신종플루)에 대응하는 연구용(research-grade) 백신 후보물질을 만들어 낸 바 있다. 2012년에는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에 공급할 1,000만 도스분의 1價 인플루엔자 백신을 한달 만에 제조한 전력도 있다.
메디카고는 2015년에도 미국 보건부 산하 질병예방대응본부(ASPR) 직속 생물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에 공급할 에볼라 단일클론 항체 복합물질(cocktail)을 신속하게 제조해 역량을 입증했다.
메디카고社의 브루스 클라크 대표는 “우리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속도를 보면 현재의 글로벌 공공보건 위협에 대응할 백신 및 항체 솔루션을 제조할 수 있는 천연물 기반 플랫폼의 역량에 힘입은 결과라 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전자를 확보한 후 20일 만에 백신 후보물질을 제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우리가 보유한 검증된 기술의 차별성을 방증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이 기술이 예상치 못했을 만큼 신속하게 ‘코로나19’에 대한 대대적인 대응을 가능케 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라발대학 감염성질환연구소 소장으로 미생물학‧감염성질환 연구실을 이끌고 있는 게리 코빈저 교수는 “우리 대학 연구팀과 메디카고 사이에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협력에 힘입어 과거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및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감염증 질환에 대응하는 항체들을 대단히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었던 전례가 있다”며 “우리가 SARS-CoC-2에 대응하는 치료용 항체들도 성공적으로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 이유”라고 말했다.
한편 메디카고가 최초로 개발한 계절성 재조합 4價 바이러스 유사입자 백신은 총 2만5,000여명의 환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이루어진 효능‧안전성 평가 임상시험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현재 캐나다 보건부에 의해 새로운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승인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심사절차가 진행 중이다.
01 | 지투지바이오, 공모가 상단 58,000원 확정..... |
02 | IPO 앞두고 신경계 R&D 강화…명인제약, '글... |
03 | 신테카바이오, 메타비아와 AI 기반 약물 재... |
04 | 릴리, 항체공장 매각...제약기업들,미국내 ... |
05 | 셀론텍 ‘카티졸’, 히알루론산 대비 비열등... |
06 | "현대바이오 제프티,팍스로비드·조코바보다 ... |
07 | 씨티바이오, ‘한국 헬스케어 혁신기업 40’ 선정 |
08 | 수젠텍, 반려동물 알레르기 진단 시장 진출 |
09 | 셀트리온 유플라이마,직판 경쟁력 바탕 후발... |
10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올해 미국 플로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