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코로나19, 의료기관 현실 맞게 개정 필요"
메르스 지침 적용, 불안감 조성해…조기 진단-치료 방해
박선혜 기자 loveloves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3-09 17:46   수정 2020.03.09 17:50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이 크게 확산됨에 따라 의료진과 의료기관이 확진자에게 노출되는 사례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에 의협은 현실에 부합한 관련 지침을 개정,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9일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은 '의료진 및 의료기관 내 확진자 노출에 따른 의료기관 폐쇄 기준과 진료재개 기준'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의협은 "다수의 의료기관이 갑작스럽게 폐쇄조치됨으로써 기존에 치료를 받고 있던 환자의 치료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고 주변 의료기관은 늘어난 환자로 인해 업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국은 과거 메르스 사태에서의 지침을 그대로 유지, 적용하고 있어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며 "현실에 부합하고 국민건강 관리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관련 지침을 즉시 개정, 시행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의협에 따르면 지역사회 감염 확산에 따라 의료인 및 의료기관 종사자 등 의료기관에서의 확진자 발생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며 앞으로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확진자 발생만으로 의료기관을 폐쇄한다면 다수의 의료기관이 문을 닫아야 할 수 밖에 없어 피해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의협은 "확진자가 발생하더라도 소독제별 특성에 따라 검증된 제품을 사용해 일정 수준 이상의 소독 등 조치 후에는 의료기관이 신속하게 진료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소독을 실시하는 동안에도 해당시설의 업무와 관리를 위한 필수 인원은 적절한 방호복을 착용하고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현재 지방자치단체와 질병관리본부가 폐쇄 및 진료재개 등 확진자 발생 의료기관의 관리를 주관하고 있으나, 폐쇄 기준과 폐쇄 기간, 진료 재개 기준 등이 명확하지 않으며 지자체마다 입장이 다르다.

때문에 단지, 그저 불안하다는 이유로, 또 지자체가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이유로, 의학적 근거 없이 무조건 폐쇄명령부터 내리는 것은 자칫 잘못하면 인명 피해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의협의 설명이다.

의협은 "의료기관에서 의료진 등의 확진자 발생과 관련한 지침은 의료기관 뿐 아니라 다중 이용시설과 사업장 등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만큼 소독 및 영업 재개 기준 등에 대한 현실적인 개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고 실제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면서 의학적으로도 근거가 없는 현 지침을 과감하고 조속하게 개정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