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헬스케어와 관련한 국내·외의 연구와 비즈니스 모델의 현재와 미래를 짚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7일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플러스 2018’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세션이 마련돼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환자정보 빅데이터화, 사회적 합의가 우선”
이 자리에 분당서울대병원 황희 교수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국가 R&D 펀드가 어디로 갔는지를 보면 지노믹스에 워낙 많이 투자된다”며 “클라우드나 빅데이터를 빼고 얘기하면 IoT와 모바일은 불모지나 마찬가지다. 이는 우리나라의 특이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또한 “현재 전국 병원에서 대부분 빅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센터에서 무엇을 하는지 잘 모르겠다”며 “빅데이터는 하나의 툴로 △환자 정보&리스크 분석학 △의료 화상진찰&진단학 △의약품 발견 등을 할 수 있는데 빅데이터로 어떤 서비스를 할지를 먼저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황희 교수는 환자정보의 소유권 문제와 관련해서는 사견임을 전제로 “최근 빅데이터 이슈로 개인정보 사용을 전향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등 다양한 말들이 나오고 있는데 의사로서 볼 때 병원에서 생성된 의무기록은 원칙적으로 환자에게 소유권이 있다”고 의견을 내놨다.
황 교수는 “병원에서 환자 정보를 이차적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면서도 “사용시 가명화·유명화를 해서 사용해도 된다는 식은 아니다. 세상에 100% 안전한 것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병원이나 산업계나 빅데이터를 통해 부가적인 이익을 얻게 되면 일정 정도 환자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어떻게 썼는지 알 수 있는 트래킹 시스템(tracking system)은 있어야 한다”며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우선이지 기술의 안전성 여부나 법률의 유무가 우선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해외 유전자분석·원격의료 등 성공사례 등장…국내는 한계
눔코리아 김영인 상무는 다지털 헬스케어 비즈니스 모델들을 소개하며 각각의 성공과 실패 요인 등에 대해 짚었다.
김영인 상무는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Fitbit의 IPO가 분수령이었다”며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던 이 시장은 재구매율 하락 등이 현실화되며 위축돼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상무는 “Genomics 분야에서는 최근 GSK가 3억 달러를 투자해 유전체 정보 분석 기업인 23andMe와 4년간 연구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DTC(Direct To Customer)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유전체 관련 분야 기업들은 공격적으로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원격의료(Telemedicine)의 경우 미국 Teladoc이 상장을 한 사례가 있다. 이 회사는 보험사와 직접 계약을 통해 B2B로만 사업을 진행했다. 환자는 1년 365일 언제나 의사를 만날 수 있고 보험사를 통하면서 환자 부담도 줄었다. 최근에는 CVS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B2C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국내는 상황이 다르다”면서 “원격의료를 받더라도 처방약을 받기 위해 약국을 가야 한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의원 진료 후 약국에서 조제약을 받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더불어 “국내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개발이 신기술 도입 쪽에 초점이 맞춰지다보니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데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중 비즈니스적으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분야는 무엇일까?
김영인 상무는 “국내 시장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시장이 돌아가다 보니 보험수가화가 되지 않는 이상 비즈니스를 크게 키우기는 어렵다”면서도 “최근 국내 대형 보험사가 당뇨환자들에게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키로 했다. 보험시장에서 헬스케어 서비스가 활용되는 사례가 늘어나다보면 시장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