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보건의료 협력, 정확한 북한 통계 확보 시급
전정희 사무관, 영아·전염성질환 사망률 체계적 지원 장기적 검토 필요
김정일 기자 ji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09-07 15:12   

남북 보건의료 협력을 위해 정확한 북한의 보건의료 통계를 서둘러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통일부 전정희 사무관은 7일 ‘바이오플러스 2018’ 중 ‘한반도 건강관리’ 세션에서 북한의 보건의료 통계는 매년 같은 숫자가 반복되는 등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정희 사무관은 “김정은 시대 과학기술 발전이 의료계로 파장되는지 추이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고, 새롭게 건설된 병원에서의 치료 경험을 살펴보고 북한의 유상치료 변화를 살펴보는 노력이 요구된다”며 “남북 보건의료 협력을 위한 정확한 북한 통계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 사무관은 “독일 통일과정에서 서독이 동독의 보건의료 통계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전정희 사무관은 “북한의료의 현실적인 문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의료시스템이 붕괴돼 국가에서 의료지원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경제적 어려움으로 잘 먹지를 못한 결과 결핵질환 등 감염성 질환 관리가 미흡하다”며 “영양부족은 전신쇠약, 빈혈, 성장부진, 면역력 결핍문제를 동반해 건강상태가 점차 약화되고 건강유지 증진에 필요한 예방접종 미비로 감염성 질병에 노출돼 있다”고 밝혔다.

전 사무관은 “북한의 의약품 전달체계는 자생적 의약품 시장 발생기(1999년~2002년), 시장과 개인약국의 의약품 판매 혼재기(2003년~2009년)을 거쳐 현재까지 의약품 개인약국 판매 확립기로 볼 수 있다”며 “돈을 가지고 있는 ‘돈주’의 등장으로 북한의 보건의료분야의 사적 부문이 공적 부문을 잠식하고 있다. 사적 자본을 갖고 제약공장, 의료기관의 건설 투자 등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병원 필수의약품 구비현황은 매우 열악하고 소독제, 마취제는 아예 없는 수준이다. 군 단위 병원과 도 단위 산과병원 대부분이 초음파기기, 심전도기기 등 진단장비를 갖추지 못하고, 있더라도 불량인 상황”이라며 “산과용 진단장비, 응급장비, 분만 침상 등 불량률이 높아 산모와 신생아 안전 보장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북한의 병원에서 사용되는 의료소모품과 장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병원의 의료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기초의약품 지원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영아사망률, 전염성 질환 사망률을 낮추는 체계적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