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AI활용·스마트임상센터·국가신약개발지원 주력
권덕철 차관 2018 GIC 심포지엄에서 강조…제약생태계 조성 및 10년지원사업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06-01 12:00   수정 2018.06.01 12:09
복지부가 보건산업 정책 중 신약개발과 관련된 중점 방향으로 인공지능활용, 스마트임상센터, 국가신약개발지원사업 등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권덕철 차관은 1일 임페리얼팰리스서울 호텔에서 열린 '2018 GIC 심포지엄' 기조강연을 통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권 차관은 "세계보건산업 시장규모가 타 산업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국가별로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보건산업시장은 세계 시장에 비해 아직 적은 수준이라 좀더 많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기대를 밝혔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 복지부도 보건산업에서의 신약개발을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방향은 인공지능(AI)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임상센터 구축, 국가신약개발지원사업(가칭) 등이다.

권 차관은 'AI 활용 신약개발'과 관련 "앞으로는 신약개발 인공지능활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공지능 신약개발에 중점을 둬서 제약바이오협회 등 제약계와 협력해 중점지원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에는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함께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3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스마트 임상시험센터 구축'은 신약개발 관련 R&D 비용이 지속 증가하면서 ICT 기술융합의 임상시험 혁신기술 개발을 통한 스마트 임상시험 환경조성 필요성에 따라 추진이 이뤄졌다.

세부적으로는 2019~2022년 3년간 스마트 임상시험 플랫폼 구축 및 네트워크 강화가 이뤄진다. IT 기반 임상시험 수행 능력을 강화한 스마트 임상시험센터를 

이를 위해 복지부는 올해 통합정보 기반의 임상시험 관리시스템 및 병원정보 활용 스마트 임상개발지원 시스템 개발등에 38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더불어 권덕철 차관은 "일몰이 도래한 지원 사업 중 복지부가 담당하는 사업의 후속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며 현재 예비타당성조사를 준비중인 '국가신약개발지원사업'을 설명했다.

국가신약개발지원사업의 기획범위(안)에서는 기존 사업을 성격에 따라 3분류로 나눠 계획한다.

'신약개발지원'에서는 선도물질 발굴부터 임상 2상까지 단계별로 지원한다. 이는 기존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 사업, 신약개발지원, 제약산업 특화지원 등을 포함하는 범위이다. 다만 현 시점에서 '국가항암신약개발'은 검토중인 상황이다.

과기부에서 예비타당성조사중인 '국가신약 파이프라인 발굴·확보 사업(안)'은 이번 사업과 별도로 추진된다.

두번째로 '임상 전 단계 인프라·기반 기술' 영역에서는 보건의료 T2B 기반 구축사업, 바이오이미징융합기술텐더 등이 포함되며, 마지막 '임상단계 인프라·기반기술'은 국가임상시험사업 등이 속한다.

권덕철 차관은 "앞서 신약개발이 정부 혁신성장 동력과제로 포함돼 있으며, 이와 같은 맥락에 향후 10년간 신약개발에 대한 사업(국가신약개발지원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신약 물질탐색부터 임상시험까지 단절없이 지원하고, 유망 분야의 창의적 연구지원 및 기업 수요를 반영한 신약개발을 이루는데 힘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