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케타민, 치료 저항성 우울증 치료제 기대케
얀센, 임상 2상 시험결과 ‘JAMA 정신의학’ 게재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7-12-29 11:29   

새로운 치료 저항성(treatment-resistant) 우울증 치료제가 개발되어 나올 수 있을 전망이다.

얀센 리서치&디벨롭먼트 LLC社는 비강 내 투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약물인 에스케타민(esketamine)의 임상 2상 시험결과가 의학저널 ‘미국 의사회誌 정신의학’에 27일 게재됐다고 28일 공표했다.

에스케타민을 비강 내 투여한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 그룹의 경우 플라시보 대조그룹과 비교했을 때 우울증 증상들이 괄목할 만하고 임상적으로 유의할 만하면서 신속하게 개선되었음이 입증되었다는 것이 게재내용의 요지라는 것.

이 보고서의 제목은 ‘치료 저항성 우울증에서 경구용 항우울제에 보조요법제로 에스케타민을 비강 내 투여했을 때 나타난 효능 및 안전성’이다.

임상 2상 시험의 피험자들은 착수시점에서 경구용 항우울제 복용을 지속해 왔던 환자들이었다.

더욱이 이 시험의 피험자들은 최소한 2종의 경구용 항우울제를 충분한 용량으로 복용했음에도 불구, 임상적으로 유의할 만한 증상개선이 관찰되지 않았던 까닭에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들로 분류된 이들이었다.

그럼에도 불구, 이번 시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우울증을 평가하는 주요한 척도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는 ‘몽고메리-아스베리 우울증 평가척도’(MADRS)를 적용했을 때 수치가 크게 감소했을 뿐 아니라 환자들의 우울증 관련증상들이 개선되어 임상적으로 괄목할 만한 효능이 나타났음을 방증했다는 것이 얀센 리서치&디벨롭먼트 측의 설명이다.

에스케타민은 글루탐산 수용체 조절제로 불리는 새로운 계열의 약물로 주요 우울장애 환자들의 뇌세포 내에서 시냅스 연결의 회복을 돕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시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구팀은 에스케타민 28mg, 56mg 및 84mg 등 3개 용량을 복용한 그룹의 항우울 효과를 주의깊게 관찰했다.

그 결과 3개 용량을 주 2회 투여한 피험자 그룹 모두 1주 후부터 증상개선이 눈에 띈 데다 투여빈도를 최대 9주로 늘렸을 때도 지속적인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얀센 리서치&디벨롭먼트社의 후세이니 K. 만지 글로벌 정신의학 치료제 부문 대표는 “주요 우울장애 환자들 가운데 3분의 1 가량이 현재 사용 중인 치료제들에 별다른 반응을 나타내지 않고 있는 형편”이라며 “이번에 공개된 시험결과를 보면 추가적인 임상시험 진행의 필요성 뿐 아니라 에스케타민이 장차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에도 무게를 싣게 한다”고 말했다.

특히 에스케타민이 FDA의 허가를 취득할 경우 50여년만에 선을 보이는 새로운 불응성 주요 우울장애 치료제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만지 대표는 강조했다.

실제로 20~64세 다양한 연령대에 속한 성인환자 126명을 충원한 가운데 지난 2014년 1월부터 이듬해 9월까지 미국과 벨기에에서 진행되었던 이번 임상 2상 시험결과에 따르면 에스케타민 28mg, 56mg 및 84mg 투여그룹은 MADRS 수치가 각각 4.2점, 6.3점 및 9.0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주 동안 이중맹검법으로 시험을 진행한 결과를 보더라도 에스케타민 28mg, 56mg 및 84mg 투여그룹은 각각 12.5%, 27.3% 및 40.0%에서 증상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나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10.0%를 크게 상회했다.

또한 개선된 평균 MADRS 수치를 보면 8주에 걸친 추적조사 기간 동안 지속된 것으로 분석됐다.

에스케타민은 내약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이중맹검법 시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의 5%와 오픈-라벨 시험 피험자들의 2%만이 부작용으로 인해 중도에 약물투여를 중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사망한 피험자들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작용이 나타났더라도 일시적이거나 경도에서 중증도 수준에 그친 것으로 평가됐다.

빈도높게 수반된 부작용들로는 현기증, 두통, 지각(知覺) 변화, 해리성(解離性) 증상, 미각장애 및 진정 등이 눈에 띄었다.

현재 에스케타민은 치료 저항성 우울증 및 간헐적인 자살충동을 동반한 주요 우울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3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간헐적인 자상충동을 나타내는 청소년 주요 우울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 2상 시험도 진행되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