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 제약기업들이 지난 2년 동안 개발도상국가들의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해 많은 일을 한 것으로 평가됐지만, 여전히 미흡한 부분들이 없지 않은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의약품 접근성 지수’(The Access to Medicine Index) 랭킹을 집계한 결과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 및 노보노디스크社가 1위와 2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노피社와 화이자社는 순위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음이 눈에 띄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부를 둔 비영리 기구 ‘의약품접근성향상재단’(AMF)은 지난 17일 공개한 ‘의약품 접근성 지수 톱 20 랭킹’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의약품 접근성 지수’란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백신 및 기타 건강 관련기술 등을 여력이 없는 개발도상국가들의 수많은 사람들을 위해 주요 글로벌 제약기업들이 기울이고 있는 의약품 접근성 개선 노력을 수치화한 것이다.
순위집계를 위한 주요 평가항목들은 ▲소외된 질병들을 겨냥한 신약개발 진행 여부 ▲회사의 주요 제품들에 대한 제네릭 제형 개발실태 ▲개발도상국가들에 대한 가격접근법 ▲로비활동 ▲마케팅 윤리 준수도 ▲의약품 기증활동 ▲기타 인보활동 등이다.
이에 따르면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가 의약품 접근성 지수 3.29점을 기록하면서 4번째로 정상의 자리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노보노디스크社의 경우 주요 6개 평가항목 가운데 5개에서 괄목할 만한 향상이 눈에 띈 덕분에 2012년 집계 당시의 6위에서 2위(3.01점)로 뛰어올라 주목됐다.
뒤이어 ▲3위 존슨&존슨社(2.84점‧2012년 순위 2위) ▲4위 노바티스社(2.84점‧7위) ▲5위 길리어드 사이언스社(2.81점‧5위) ▲6위 독일 머크社(2.77점‧8위) ▲7위 머크&컴퍼니社(2.64점‧4위) ▲8위 사노피社(2.57점‧3위) ▲9위 애브비社(2.56점‧순위집계外) ▲10위 바이엘社(2.51점‧9위) ▲11위 에자이社(2.47점‧15위) ▲12위 로슈社(2.30점‧10위) ▲13위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社(2.23점‧12위) ▲14위 베링거 인겔하임社(2.08점‧17위) ▲15위 아스트라제네카社(1.94점‧16위) ▲16위 화이자社(1.93점‧11위) ▲17위 일라이 릴리社(1.73점‧14위) ▲18위 아스텔라스 파마社(1.56점‧20위) ▲19위 다이이찌 산쿄社(1.50점‧19위) ▲20위 다케다社(1.45점18위)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AMF의 빔 리어벨드 회장은 “전체 평가항목에서 ‘톱 5’ 이내에 랭크된 제약기업은 한곳도 없었지만, 선도적인 업체들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다”며 “상위권에 랭크된 업체들은 지속적인 혁신을 위해 기울인 노력 덕분에 높은 랭킹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평가했다.
AMF의 자야스리 K. 아이어 조사책임자는 “시장에서 가장 큰 존재감을 보유한 업체들이 의약품 접근성 지수에서도 반드시 높은 위치를 차지한 것은 아니었다”며 “4개 제약기업들이 전체 관련제품들의 50% 정도를 생산했을 정도”라고 밝혔다.
아울러 의약품 접근성 지수 순위를 집계하는 대상제품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보다 해당제품들로 무엇을 했는지가 랭킹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AMF는 20위 이내에 포함된 제약기업들 가운데 18곳이 지난 2년 동안 마케팅 윤리, 수뢰 또는 부패기준 및 공정경쟁기준 위반으로 인해 심판이나 문제점 타결을 위한 대상에 올랐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중국에서 몇몇 제약기업들이 수뢰 혐의 등으로 곤욕을 치렀던 것은 단적인 사례라는 것.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의 경우 분석대상기간 동안 문제를 타결지었으므로 2014년 집계에 영향이 미치지 않았다고 AMF는 설명했다.
한편 이번에 공개된 내역을 보면 5개 제약기업들이 순위집계 대상 327개 제품들의 54%를 개발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이 중 50% 이상이 5개 질환들을 겨냥한 치료제들로 파악됐다.
5개 질환들은 하기도 감염증, 당뇨병, 간염, AIDS 및 말라리아 등이다.
또한 대상제품들의 36%는 비 감염성 질환들을 적응증으로 한 약물들이었다.
01 | 한국줄기세포학회, ‘차광렬 학술상’ 제정 |
02 | 종근당,'텔미누보정' 본태성 고혈압 개량신... |
03 | '랩오토메이션 강자' 큐리오시스, 증권신고... |
04 | 대한약사회, 유니온약품 불법 리베이트 사건... |
05 | 삼천당제약, 상반기 매출 성장에도 영업손실... |
06 | "비임상시험, 단순 자료 아닌 전략적 자산…... |
07 | "심평원, 성인 신경섬유종 환자 외면…소아 ... |
08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센터장, 성비위 ... |
09 | JW중외제약,상반기 매출 6.7%-영업익 24%↑..... |
10 | 동아ST,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와 신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