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리, 비만ㆍ관련 대사계 장애 치료제 발굴 제휴
첨단 정밀 RNA 유도 조절 유전체 플랫폼 이용 취지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9-06 10:00   

스위스 생명공학기업 하야 테라퓨틱스社(HAYA Therapeutics)가 일라이 릴리社와 다개년 제휴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공표했다.

양사는 하야 테라퓨틱스 측이 보유하고 있는 첨단 정밀 RNA 유도 조절 유전체(RNA-guided regulatory geneme) 플랫폼을 적용해 비만 및 관련 대사계 장애 치료제들의 전임상 단계 발굴을 진행하기 위해 손을 맞잡은 것이다.

이를 통해 양사는 비만과 관련 대사계 장애를 비롯한 만성질환들에 대응할 다수의 조절 유전체 유래 RNA 기반 약물표적들을 확인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합의를 도출함에 따라 하야 테라퓨틱스 측은 지분투자를 포함한 계약성사금을 지급받기로 했다.

하야 테라퓨틱스 측은 이와 함께 전임상, 임상 및 발매 관련 성과금으로 최대 10억 달러를 지급받을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으며, 제품발매가 이루어졌을 때 매출액 대비 로열티를 수수할 수 있는 권한까지 보장받았다.

이와 관련, 하야 테라퓨틱스 측이 독자보유한 조절 유전체 발굴 플랫폼은 조직, 질병 및 세포 특이성 긴 비 암호화 RNA(lncRNA) 표적들을 식별하고, RNA 표적 치료제들의 개발을 가능케 해 줄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이 같은 RNA 표적 치료제들은 질병을 촉발하는 세포의 상태를 재프로그램화해 기존에 사용 중인 치료제들에 비해 효능을 높이고 독성은 낮출 수 있도록 해 줄 것으로 보인다는 예측이다.

무엇보다 일라이 릴리 측은 이번에 성사된 제휴에 힘입어 하야 테라퓨틱스 측이 보유한 다양성을 내포한(full-stack) 조절 유전체 플랫폼을 이용해 새로운 비만 및 관련 대사계 장애 치료제들의 개발을 진행하기 위한 긴 비 암호화 RNA 표적들을 식별하고, 특성화하고, 검증해 나갈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야 테라퓨틱스社의 자미르 운자인 대표는 “일라이 릴리 측과 구축한 제휴관계가 우리의 혁신적인 조절 유전체 RNA 유도 플랫폼이 괄목할 만하게 진일보해 왔음을 방증하는 것이자 각종 만성질환에서 긴 비 암호화 RNA를 표적화하는 것의 잠재적 가능성에 무게를 싣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하야 테라퓨틱스는 대사계 장애 치료제 개발 분야의 선도주자 가운데 한곳으로 손꼽히는 일라이 릴리 측과 긴밀하게 협력해 새로운 질병 조절제들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운자인 대표는 다짐했다.

이처럼 새로운 질병 조절제들은 현재 사용 중인 치료제들에 비해 효능, 안전성 및 접근성이 개선된 치료제로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