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 중증 원형 탈모증 치료제 ‘렉셀비’ 허가
‘렉셀비’(듀룩솔리티닙)..두피 모발 24주 후 13%->80%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8-01 10:49   수정 2024.12.06 19:04

인도 제약기업 선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스社(선 파마)는 자사의 경구용 성인 중증 원형 탈모증 치료제 ‘렉셀비’(Leqselvi: 듀룩솔리티닙) 8mg 정제가 FDA로부터 발매를 승인받았다고 25일 공표했다.

원형 탈모증은 미국 내 환자 수가 약 7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가운데 이 중 30만명 정도가 중증 원형 탈모증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탈모증은 전문인의 도움을 구하기에 앞서 자가치료를 하는 환자들이 많고, 기존 치료제들의 경우 증상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데 그쳐 불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지적되어 온 형편이다.

선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스社의 압하이 간디 북미사업부 대표는 “새롭고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장기간 동안 중증 원형 탈모증과의 싸움을 진행해 왔던 환자들과 의료인들에게 괄목할 만한 치료효과의 향상을 가능케 해 줄 대안으로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발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우리의 피부질환 사업부문이 보유한 포트폴리오에 새로운 치료제를 추가할 수 있게 된 것에 대단히 고무되어 있다”고 말했다.

‘원형 탈모증’이란 면역특권(immune privilege)이 무너지면서 나타나는 다빈도 자가면역성 질환의 일종을 말한다.

면역계가 모낭을 표적으로 작용해 두피, 안면 그리고 때로는 전신에 걸쳐 돌발성 탈모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렉셀비’는 1일 2회 경구복용하는 선택적 야누스 인산화효소(JAK) 1 및 JAK 2 저해제의 일종이다.

이처럼 야누스 인산화효소의 활동을 억제함에 따라 ‘렉셀비’는 중증 원형 탈모증에서 탈모를 유도하는 작용경로를 차단하는 기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FDA는 2건의 다기관, 피험자 무작위 분류, 이중맹검법, 플라시보 대조 임상 3상 ‘THRIVE-AA1 시험’ 및 ‘THRIVE-AA2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근거로 이번에 ‘렉셀비’의 발매를 승인하는 결정을 내린 것이다.

두 시험에는 ‘탈모증 중증도 평가지표’(SALT)를 적용해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평가했을 때 최소한 두피 부위의 50%에서 탈모 증상이 나타난 1,220명의 원형 탈모증 환자들이 피험자로 충원됐다.

이와 함께 FDA는 24주의 임상시험을 마친 피험자들에 한해 등록자격이 부여된 2건의 개방표지, 장기 연장시험에서 확보된 자료 또한 승인 유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참조했다.

시험자료를 보면 착수시점에서 피험자들은 평균적으로 볼 때 두피 부위의 13%만 모발에 덮여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그런데 24주차에 평가한 결과를 보면 ‘렉셀비’를 복용한 환자들의 30% 이상에서 모발이 80% 이상의 두피 부위를 덮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서 일차적인 시험목표가 충족됐다.(SALT 20 이하)

‘렉셀비’를 복용했고 SALT 점수가 20 이하로 나타난 환자 수를 보면 24주 동안 일관된 상향 추이를 내보인 데다 증상의 개선이 정체된 환자들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최대 25%의 환자들은 24주차에 평가했을 때 두피 부위를 덮은 모발이 원형 탈모증이 나타나기 이전의 수준에 가깝게 개선된 것으로 평가됐다.

‘렉셀비’의 임상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한 캘리포니아대학 어바인캠퍼스의 나타샤 메신코브스카 부교수는 “다수의 중증 원형 탈모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기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면서 “효능이 검증된 경구용 야누스 인산화효소 저해제를 사용하는 것이 원형 탈모증 커뮤니티에 임팩트 있는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상 2상 용량범위(dose-ranging) 시험과 임상 3상 피험자 무작위 분류, 플라시보 대조시험에 걸쳐 ‘렉셀비’ 8mg을 1일 2회 복용한 환자들 가운데 부작용으로 인해 시험참여를 중단한 경우는 3.1%에 그쳤다.

이에 따라 임상시험에서 100명 이상의 환자들이 3년이 넘는 기간 동안 ‘렉셀비’의 복용을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렉셀비’는 중증 감염증, 악성종양, 혈전증, 위장관 천공 및 일부 실험실 검사결과의 이상을 포함한 중증 부작용을 수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망률의 증가와 주요 심혈관계 제 증상을 수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YP2C9 효소의 대사가 취약하게 나타나는 환자들이나 중등도 또는 고도(strong) CYP2C9 저해제를 복용 중인 환자들은 ‘레스켈비’의 복용을 삼가야 한다.

플라시보 대조시험에서 가장 빈도높게 나타난 3가지 부작용을 보면 두통, 여드름 및 비인두염 등이 보고됐다.

선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스社의 마렉 혼차렌코 부회장 겸 개발담당대표는 “FDA가 ‘렉셀비’의 발매를 시의적절하게 승인한 것을 환영해 마지 않는다”면서 “FDA의 이번 결정은 환자와 의사들을 위해 유의미한 방식으로 연구‧개발을 거쳐 허가를 취득하기까지의 전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우리 조직의 역량이 검증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