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트루캅’ 삼중 음성 유방암 임상결과 未충족
임상 3상 ‘CAPItello-290 시험’ 총 생존기간 개선 입증 차질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6-20 10:22   

“임상 3상 ‘CAPItello-290 시험’에서 ‘트루캅’(카피바서팁)과 파클리탁셀을 병용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그룹의 경우 총 생존기간의 개선과 관련한 두가지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트라제네카社가 임상 3상 ‘CAPItello-290 시험’에서 도출된 최신 시험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전체 피험자 그룹 또는 종양에 PIK3CA, AKT1 또는 PTEN 유전자 등 한가지 이상의 생체지표인자에서 변이가 잠복된 하위그룹을 대상으로 ‘트루캅’과 파클리탁셀을 병용하거나 플라시보와 파클리탁셀을 병용하면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총 생존기간 개선의 우위가 입증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삼중 음성 유방암’이란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휴먼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HER2) 등에 모두 음성을 나타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와 관련, 유방암은 두 번째 다빈도 암이자 세계 각국에서 주요한 암 관련 사망원인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PIK3CA, AKT1 변이와 PTEN 유전자 변이는 전체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들 가운데 35%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시험을 총괄한 영국 런던 소재 바트 암연구소의 피터 슈미트 박사는 “상당정도 진보가 이루어진 가운데서도 삼중 음성 유방암은 여전히 치료가 가장 도전적인 유형의 암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면서 “알려진 생체지표인자 표적들이 결핍된 관계로 항암화학요법제 기반요법이 여전히 치료방법의 주축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슈미트 박사는 뒤이어 “비록 ‘CAPItello-290 시험’에서 원하던 결과가 입증되지 못했지만, 환자들이 새로운 치료대안을 절실히 필요로 할 만큼 이렇게 공격적인 유형의 유방암에 대한 우리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정보를 얻게 된 것은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스트라제네카社의 수잔 갤브레이스 항암제 연구‧개발 담당부회장은 “유방암의 이질적인 하위유형을 포함해서 가장 도전적인 일부 암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한 진일보를 이루기 위해 아스트라제네카는 사세를 집중해 오고 있다”고 밝힌 뒤 “비록 ‘CAPItello-290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이 시험결과가 유방암에서 PI3K/AKT 경로의 역할에 대한 우리의 이해도를 심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트루캅’의 임상개발 프로그램과 우리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연구는 앞으로도 변함없이 지속될 것이라고 갤브레이스 부회장은 강조했다.

‘CAPItello-290 시험’에서 ‘트루캅’ 병용요법의 안전성 프로필을 보면 개별약물들과 관련해서 이미 알려져 있는 안전성 프로필과 비교했을 때 포괄적인 의미에서 궤를 같이했다.

아울러 안전성 측면에서 새로운 우려사안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같은 시험자료는 추후 적절한 절차를 거쳐 공유될 예정이다.

한편 ‘트루캅’은 현재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CAPItello-292 시험’과 전립선 환자들을 충원한 가운데 개시된 임상 3상 ‘CAPItello-280 시험’, 기존 치료제들과 병용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3상 ‘CAPItello-281 시험’ 등이 진행 중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