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社와 함께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를 공동개발한 독일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엔테크社가 영국의 인공지능(AI) 및 기계학습(ML) 분야 글로벌 테크놀로지 컴퍼니 인스타딥社(InstaDeep)를 인수키로 합의했다고 10일 공표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엔테크는 현금 3억6,200만 파운드를 계약성사금으로 건네고, 인스타딥 측이 발행한 잔여주식 100%를 인수키로 했다.
인수대상 주식 가운데 바이오엔테크 측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지분은 포함되지 않는다.
인스타딥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은 이와 함께 최대 2억 파운드 상당의 미래 실적 기반 성과금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는 권한을 보장받게 된다.
앞서 바이오엔테크는 지난해 1월 인스타딥 측이 ‘시리즈 B’ 자금조달 라운딩을 진행할 때 처음으로 이 회사에 대한 지분투자를 단행한 바 있다.
인스타딥을 인수키로 함에 따라 바이오엔테크는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뿐 아니라 크게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가 존재하는 질병들에 대응하기 위한 차세대 면역요법제 및 백신 개발을 선도할 수 있는 세계적인 역량을 구축한다는 전략에 한층 더 힘을 실을 수 있게 됐다.
두 회사의 공통된 기업문화가 결합될 수 있게 된 데다 인공지능, 기계학습, 생체공학, 데이터 사이언스 및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240여명에 달하는 고도로 숙련된 전문인력이 바이오엔테크에 임직원으로 합류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
이와 함께 미국, 유럽, 아프리카 및 중동 각국의 핵심적인 IT 인력-풀(talent hubs)에서도 존재감을 확대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바이오엔테크 측이 자체적으로 담금질한(trained) 새로운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반 모델들이 인스타딥의 ‘딥체인’(DeepChain) 플랫폼을 통해 자체 발굴 플랫폼에 접목되어 통합 자동화 연구실 인프라에 연결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점 또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덕분에 바이오엔테크 측은 신약후보물질들의 고속(high-throughput) 설계와 검증을 규모있게 진행할 수 있게 됐다.
바이오엔테크 측은 핵심적인 전략 및 경영기능 전반에 걸쳐 새로운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테크놀로지 솔루션을 개발하고 적용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이번 인수합의는 지난 2019년 이래 양사가 성공적인 협력관계를 이어온 끝에 성사된 것이다.
한 예로 지난 2020년 11월 양사는 다개년 전략적 제휴계약을 체결하면서 첨단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술을 적용해 새롭고 다양한 항암제, 감염성 질환 치료제들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인공지능 이노베이션 랩(joint AI Innovation Lab)을 설립한 바 있다.
또한 양사는 폭넓고 다양한 과학적 영역에 걸친 민‧관 데이터세트에서 검증된 일련의 단대단(end-to-end) 인공지능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공동으로 개발했다.
그 동안 양사가 진행한 협력 가운데는 바이오엔테크의 리보사이토킨(RiboCytokineⓇ) 및 리보맵 플랫폼(RiboMabⓇ)을 위한 신생항원 선택, 리볼로지(ribological) 배열 최적화 등을 위한 프로젝트들도 포함되어 있다.
면역방어 및 전달성 회피역량에 근거를 둔 SARS-CoV-2 변이 위험도를 발견하고 모니터링하는 내용으로 지난해 1월 공개되었던 조기경보 시스템의 개발 또한 양사가 협력을 진행한 내용이다.
바이오엔테크社의 우구르 사힌 대표는 “바이오엔테크가 설립된 이래 우리는 다수의 환자들에게 사용될 수 있는 맞춤 면역요법제들을 개발하기 위해 컴퓨터 솔루션을 적용하는 데 사세를 집중해 왔다”면서 “인스타딥을 인수키로 합의함에 따라 이제 우리는 발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계의 인공지능 역량을 우리의 기술, 연구, 신약개발, 제조 및 전개 과정에 접목할 수 있게 된 것”이라는 말로 의의를 강조했다.
우리의 목표는 바이오엔테크를 인공지능이 전체적인 부분에서 매끄럽게(seamlessly) 적용되는 첨단 테크놀로지 기업으로 자리매김되도록 하는 데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바이오엔테크는 일찍부터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이 내포하고 있는 중요성을 인식한 생명공학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한 예로 지난 2014년 개시된 임상시험에서 맞춤 백신을 첫 환자에게 투여했을 당시 바이오엔테크는 수동으로 신항원결정기들(neoepitopes)을 선택했다.
그 후 일찍이 기계학습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데 투자한 끝에 신항원결정기들에 대한 예측을 개선한 최초 시험결과를 지난 2017년 과학저널 ‘네이처’誌에 공개했다.
그리고 이 같은 알고리즘은 인스타딥 측과 지속한 협력에 힘입어 괄목할 만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인스타딥社의 설립자인 카림 베귀르 대표는 “인공지능의 발전이 기하급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스타딥에서 우리의 사명은 모든 사람들이 이로부터 유익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면서 “바이오엔테크 측과 하나의 팀이 되어 딥 테크(deep tech) 혁신과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공동의 기업문화를 일군 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치료의 질을 향상시켜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과의 싸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차세대 면역요법제를 설계한다는 목표에 따라 제약연구와 인공지능을 선도적으로 접목해 나갈 것이라고 베귀르 대표는 덧붙였다.
한편 양사간 합의에 따른 후속절차들은 올해 상반기 중에 마무리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인수절차가 마무리되면 인스타딥은 바이오엔테크의 영국 소재 계열사 가운데 한곳으로 편입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