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메릴랜드州 게이더스버그에 소재한 차세대 백신 개발 전문 생명공학기업 노바백스社가 11~14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2022년 세계 백신 학술회의 유럽’ 석상을 통해 임상 3상 ‘PREVENT-19 시험’ 및 ‘스터디 307’에서 확보된 자료를 12일 공개했다.
‘PREVENT-19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보면 18세 이상 성인그룹과 12~17세 연령대 청소년 그룹에서 노바백스의 원형 ‘코로나19’ 백신(NVX-CoV2373)이 사전에 정한 면역 관련 시험목표에 도달한 것으로 입증됐다.
마찬가지로 ‘스터디 307’에서 확보된 자료를 보면 앞서 백신 접종을 마친 18~49세 연령대에서 노바백스의 원형 ‘코로나19’ 백신 3개 로트번호 제조분을 이종백신으로 부스터 접종한 결과 일관된 면역반응이 유도되면서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됐다.
노바백스社의 그레고리 M. 글렌 연구‧개발 담당대표는 “이 같은 자료가 노바백스의 원형 ‘코로나19’ 백신을 부스터 접종에 사용했을 때 앞선 백신 접종전력과 무관하게 일관된 면역원성 및 안전성 프로필을 나타낼 수 있음을 한층 심도깊게 입증한 것”이라는 말로 의의를 강조했다.
또한 이 자료는 우리의 원형 ‘코로나19’ 백신이 오미크론 하위변이들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임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렌 대표는 “우리의 원형 ‘코로나19’ 백신이BA.4/5를 포함한 오미크론 하위변이들에 효과적인 부스터 백신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인지 탐색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라면서 “자료가 확보되면 공개해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날 공개된 ‘PREVENT-19 시험’의 결과를 보면 노바백스의 원형 ‘코로나19’ 백신을 기본접종을 마친 18세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약 8개월 또는 11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1회 동종백신 부스터 접종을 진행했을 때 항 돌기 단백질(anti-S) 면역글로불린 G(IgG) 수치가 부스터 접종 전에 비해 괄목할 만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형균주들에 대응하는 중화항체 수치가 부스터 접종 전에 비해 34~27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을 정도.
또한 부스터 접종을 진행한 후 오미크론 BA.1 변이, BA.2 변이 및 BA.5 변이에 대응하는 면역글로불린 G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hACE2) 수용체 억제 항체 수치가 임상 3상 효능시험에서 관찰된 내용에 비견할 만한 수준으로 증가했음이 눈에 띄었다.
‘PREVENT-19 시험’의 소아 대상 확대시험 결과를 보더라도 12~17세 연령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노바백스의 원형 ‘코로나19’ 백신을 1회 동종백신으로 부스터 접종했을 때 중화역가가 부스터 접종 전에 비해 2.7배 높게 나타난 데다 오미크론 BA.1 변이, BA.2 변이 및 BA.5 변이에 대응하는 항체 수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성인 및 청소년 피험자 그룹에서 노바백스의 원형 ‘코로나19’ 백신을 1회 부스터 접종했을 때 SARS-CoV-2 변이와 원형 바이러스 균주 사이의 항원 거리(antigenic distance)가 감소해 오미크론 변이 등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이 시사됐다.
또한 노바백스의 원형 ‘코로나19’ 백신은 두 연령대를 대상으로 부스터 접종을 진행한 결과 양호한 내약성이 나타나 대체로 경도에서 중등도에 이르는 반응원성이 단기간 동안 수반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터디 307’ 결과를 보면 노바백스의 원형 ‘코로나19’ 백신 3개 로트번호 제조분은 18`49세 연령대에서 일관된 면역반응을 유도한 것으로 파악됐다.
항 돌기 단백질 면역글로불린 G 역가가 임상 3상 ‘PREVENT-19 시험’에서 관찰된 높은 효능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나타난 것.
안전성 역시 3개 로트번호 제조분에서 일관되게 나타나 접종으로 인한 중증 부작용 발생이 보고되지 않았다.
이 같은 내용은 백신 제조공정의 일관성을 탄탄하게 뒷받침하는 것이다.
이밖에도 노바백스의 원형 ‘코로나19’ 백신은 모더나 테라퓨틱스社, 화이자社 및 존슨&존슨社의 ‘코로나19’ 백신을 사용해 기본접종을 마친 피험자들에게 이종백신으로 부스터 접종을 진행했을 때 면역글로불린 G 수치가 ‘PREVENT-19 시험’에서 관찰된 수준에 근접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