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질병관리센터(CDC)가 임신부, 모유 수유부, 임신을 위해 노력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들을 포함한 전체 12세 이상자들을 대상으로 11일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나섰다.
임신기간 동안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능 및 안전성을 입증한 자료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이 자료들을 보면 임신기간 중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유익성이 이미 알려져 있거나 잠재적으로 수반될 수 있는 위험성을 상회함이 시사되고 있다고 CDC 측은 설명했다.
또한 ‘코로나19’ 백신을 포함한 일체의 백신이 남‧녀 모두에게서 생식과 관련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을 입증한 자료는 부재하다고 덧붙였다.
CDC 측은 이와 함께 중증 ‘코로나19’가 나타날 전체적인 위험성은 낮지만, 임신부 또는 최근 임신한 여성들은 임신하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중증 ‘코로나19’ 위험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언급했다.
여기서 중증 ‘코로나19’는 입원, 중환자실 입원, 산소호흡기 또는 특수 호흡기 등을 필요로 하거나, 사망으로 귀결될 수 있는 위중한 증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임신한 ‘코로나19’ 환자들은 아울러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임신부들과 비교했을 때 조산할 위험성이 높은 데다 기타 임신에 유해한 영향이 미칠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CDC 측은 지적했다.
이와 관련, CDC 측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임신기간 중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을 때 효능 및 안전성을 입증한 자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 자료들이 임신기간 중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유익성이 이미 알려졌거나 잠재적인 위험성을 상회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CDC 측은 임신부들에게서 ‘코로나19’ 백신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건들이 추가로 진행되고 있거나, 착수가 예정되어 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백신 제조기업들도 이미 종결된 임상시험에 참여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검토하는 데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CDC 측은 뒤이어 임신부들의 경우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관련해서 의료인들에게 상담을 구하고자 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언급하면서 그 같은 절차가 도움이 될 수는 있겠지만, 백신 접종을 앞두고 반드시 필요한 절차는 아니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CDC의 권고내용은 미국 산부인과학회(ACOG)와 모자의학회(SMFM)을 포함해 임신부들을 위한 의료인 단체들이 권고하는 지침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코로나19’ 백신을 1회 접종받은 임신부들 경우 CDC 측은 가능한 한 최대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회 접종까지 마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신 접종 후 발열 증상이 수반되었을 때는 임신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아세트아미노펜 제제를 복용하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CDC 측은 모유를 수유 중인 여성들을 포함해 전체 12세 이상자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도록 권고했다.
다만 현재 미국에서 모유 수유부들이 피험자로 참여한 가운데 진행 중인 ‘코로나19’ 백신 관련 임상시험 사례는 부재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모유 수유부들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을 경우의 안전성, 모유를 수유받은 영‧유아들에게 ‘코로나19’ 백신이 미칠 수 있는 영향 및 ‘코로나19’ 백신이 모유 생성 또는 분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자료들만이 존재할 뿐이라고 언급했다.
그럼에도 불구, 이날 CDC 측은 ‘코로나19’ 백신이 모자(母子)를 포함해 어떤 사람들에게서도 감염증을 유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마찬가지로 모유 수유부들의 경우에도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으면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히려 최근 보고된 자료를 보면 mRNA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모유 수유부들의 경우 모유 속에서 항체들이 나타났고, 이것이 모유를 수유받는 영‧유아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됐다고 상기시켰다.
다만 이 같은 항체들이 영‧유아들을 보호하는 데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결론을 도출할 수 있으려면 보다 많은 자료가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CDC 측은 ‘코로나19’ 백신 2회 접종을 마친 후에는 ‘코로나19’ 판데믹 이전의 일상적인 활동들 가운데 많은 부분에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