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틴 복약 순응도, ‘퇴직한 중년 남성’이 가장 높다?
연령·성별·소득·기저질환 따라 순응도 달라…65세 이상 환자 1년 후 스타틴 복용 지속 절반↓
김상은 기자 kim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12-08 06:00   수정 2021.12.08 09:22
의사가 약물을 처방하면 치료법이 얼마나 효과적일지는 환자의 치료 요법 순응도(adherence)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최근 1차 치료제로 처방된 스타틴 복용 효과가 환자의 성별, 연령을 비롯해 사회·경제적 요인 등에 따라 다르게 순응도가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약학정보원 학술자문위원인 하동문 위원장은 최근 1차 예방에서 스타틴의 복약순응도의 기준을 측정해 뇌혈관질환자의 사망 위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스타틴은 뇌혈관질환{CVD(cerebrovascular disease)} 위험을 감소시키는 약물로서 특히 1차 예방 인구에서 사망 위험도를 크게 낮추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2017년 호주에서 실시된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300만명 이상의 심혈관질환환자를 대상으로 1차 예방을 위해 65세 이상 환자에게 스타틴이 처방됐으나 1년 후 환자의 47.9% 만이 복용을 지속했고, 24%는 치료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약물 복용을 위한 후속적 평가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1984년 1월에서 2017년 5월 사이 PubMed, PsycINFO, EMbase 및 CINAHL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간된 19개의 논문을 비교 분석해 순응도는 환자가 약을 복용한 일수를 환자가 처방 받은 총 일수로 나눈 비율 (약물소지율; Medication Possession Ratio, MPR))로 정의하였고, MPR ≥ 80% 인 경우를 기준으로 간주했다. 

▲ 남성, 고령일수록 스타틴 순응도 높아…연령대 5년 증가 순응도 2배↑

분석 결과 고령자일수록 스타틴 순응도가 높고,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순응도를 보였다. 40세에서 65세 사이의 남성 및 여성 코호트에서 조정된 순응도는 나이가 5년 증가할 때마다 순응도가 최대 2배까지 증가한 반면에, 동일한 코호트 연구에서 65~80세의 남성 및 여성 코호트에서 연령이 5년 증가할 때마다 순응할 확률이 최대 60% 감소하였다.

▲ 소득 상위 5분위 남성 가장 순응도 높아…여성은 상관관계 떨어져

또한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비취업자인 경우 직장인에 비해 스타틴 순응도가 높았다. 남성의 경우 순응도에 대한 소득의 강한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가장 부유한 5분위의 남성과 비교하여, 이어지는 저소득 5분위의 남성은 순응할 가능성이 낮았고 최빈소득 5분위의 남성에서 가장 강한 효과가 관찰됐다(OR 0.74, 95%CI; 0.68-0.79). 

반면 이러한 상관관계의 강도는 여성 집단에서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빈소득 5분위의 여성에서만 최고 소득 5분위의 여성에 비해 순응도가 낮았다(OR 0.93, 95%CI; 0.86-1.00).

▲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스타틴 순응도 ↑ 우울증 경우 남녀 불문 상관도 ↓

기저질환자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 동반 질환, 정신질환이 있는 환자라면 스
타딘 순응도가 높았다. 특히 처방된 심혈관 약물의 추가 단계마다 스타틴 순응 확률이 증가했으며 이 효과는 남성(OR 1.03, 95%CI; 1.0-1.06)과 여성(OR 1.04, 95%CI;1.01-1.08) 모두에서 확인됐다. 

반면 우울증, 비만 요인, 고용량의 스타틴 복용 등은 스타틴 순응도에 반비례했다. 우울증의 경우 연령 및 사회경제적 요인을 포함한 다른 공변량을 조정한 후에, 남성(OR 0.85, 95%CI; 0.79-0.93) 및 여성 모두에서(OR 0.91, 95%CI;0.85-0.95) 순응도가 낮았다

스타틴 유형별로는 심바스타틴(Simvastatin, 한국오가논)에 비해 로수바스타틴 (Rosuvastatin,한국아스트라제네카) 및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한국노바티스)은 순응도가 높았고, 로바스타틴(Lovastatin, 종근당) 및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에이치케이이노엔)은 순응도가 낮았으며, 모든 스타틴 유형에서 고용량의 스타틴이 저용량 스타틴에 비해 순응도가 낮았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