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전파, 그리고 마스크 영향 어디까지?
의협, “밀집된 공간 피하면 감염률↓…면마스크는 부득이한 경우만 사용”
박선혜 기자 loveloves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3-16 13:45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에 따른 감염여부와 면마스크의 유효성에 대해 다시금 강조하고 나섰다.

대한의사협회는 15일 코로나19 대책본부 전문위원회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반적인 궁금증에 대한 해답을 밝혔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은?

코로나 바이러스는 열에 약하다. 개인위생을 위해 뜨거운 물에 샤워(흐르는 물)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손잡이나 오염될 수 있는 물건의 표면을 조심해야 한다. 
van Doremalen N. 등 미국 CDC, NIH 연구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SARS-CoV-2는 에어로졸에서 3시간 이상, 구리표면에서 4시간, 마분지에서 24시간,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표면에서 2-3일간 전염력을 유지할 수 있다. SARS-CoV-2의 반감기는 에어로졸에서 2.7시간이며, 스테인레스 표면에서는 13시간, polypropylene 같은 플라스틱 표면에서 16시간 정도입니다. 따라서, 오염이 의심되는 물체를 만졌을 경우 곧바로 비누나 흐르는 물로 깨끗이 손을 씻거나 알코올 손소독제를 사용해야 한다.  

코로나19 감염사태가 언제까지 갈 것인가? 언제부터 일상생활 가능한가 ? 

감염력은 환자 한명이 보통 2.2명 감염시키는 정도인데, 일반 독감이 1.2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두 배 정도 높다. 
현재 수도권에서 지역사회 전파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전파력이 강한 코로나 19의 특성상 밀접접촉자를 통해서 산발적으로 다수의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다수의 대중이 모이는 행사는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회의, 행사, 개교 등의 시점은 예측하기 어려우나 현재 발생이 주로 밀접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지역사회 감염이 거의 없어지는 시점까지는 기다려서 완화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확진자 발생 긴급 문자 안내 및 동선공개 꼭 필요한가?

지난 2개월 동안 긴급 문자 안내 및 동선 공개가 방역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됐는지를 냉철하게 따져본 후 필요성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 대부분의 확진자 진단은 여행력 등의 역학적인 근거, 밀접 접촉자 관리 등에서 이루어졌고 동선 공개를 통한 새로운 확진자 진단은 미미한 것으로 알고 있다. 언제까지 개인의 프라이버시 자료를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제공할지 지난 2개월 동안의 방역 경험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겠다.
   
동선에 나온 장소 방문하면 안되나?

비말감염, 공기감염, 에어로졸감염에 대한 혼란과 우려가 많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재채기를 하면 3m 거리까지 비말이 날아간다. 대부분이 2m 이내 거리에서 비말(침,콧물)등에 의한 감염된다. 공기감염은 현재까지 인정되지 않고 있다. 에어로졸감염에 대하여 단순한 호기에도 바이러스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호기는 멀리 가지 않는다. 다만, 환자가 밀집된 공간에서 장시간 체류할 경우에 가능성이 높아진다.

마스크에 대한 지침 내용은 이해되나 정말 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 하나? 

최근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다. 보건용 마스크는 재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필터 기능을 보존하면서 살균, 건조할 수 있는 확립된 방법 없어 이런 상황에서 재사용 방법이 지침에 들어가면 오히려 이를 오해함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어 지침에는 넣을 수 없었다. 다만, 마스크가 부족한 상황이라면 참고할 수 있겠다. 그러나 권장하지는 않는다. 
앞서 의협은 마스크 착용의 경우, 활발한 지역사회 감염이 있을 경우에는 제한적으로 감염병의 전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지만, 지역사회 감염이 없거나 위험이 낮은 경우에는 일반인이 굳이 착용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현재까지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65세 이상의 고령자, 기저질환을 앓고 있는 분(당뇨, 고혈압, 신장질환, 뇌혈관질환 등)은 밀폐된 공간,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서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건용 마스크가 부족하거나 없다면, (안 쓰는 것보다) 면마스크를 쓰는 것이 좋다. (안쓰는 것보다) 청결한 곳에서 건조해서 재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