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골수 동시이식 통해 면역억제제 중단시킨다
삼성서울병원 연구진, 기존 프로토콜 개선한 ‘최종 프로토콜’ 개발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11-11 09:19   
최근 국내 연구진이 신장•골수 동시이식을 통해 일시적인 혼합 키메리즘을 유지하면서도 성공적으로 면역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선, 연구를 통해 ‘가장 적합한 프로토콜’을 개발, 학계에 주목을 받았다.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 박재범•이교원 교수 연구팀이 2011년 12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주조직 적합 복합체가 불일치한 만성 신부전증 성인 환자 8명을 대상으로 신장이식을 진행하며 발견한 결과다.

프로토콜 1과 2에서 진행한 신장•골수 동시 이식 전 골수 억제를 위한 약물 프로토콜은 약물 부작용(간 손상) 및 바이러스 감염증 등이 발생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프로토콜들을 개선하여 만든 ‘최종 프로토콜’을 환자들에게 적용하자 기존 위험들이 감소했다. 게다가 해당 프로토콜은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약물로만 구성되어 있어 국내 의료진들이 바로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체 환자 8명 중 5명이 성공적으로 면역억제제를 중단하였고, 이 중 4명은 최장 55개월간 면역억제제 복용없이 건강하게 이식된 신장을 유지중이다.  특히 최종 프로토콜을 적용한 3명은 모두 합병증 없이 면역억제제를 성공적으로 중단하였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프로토콜’ 을 [국내에서 적용 가능한 신장•골수 동시 이식 프로토콜]로 발표하였다. 향후에도 해당 프로토콜을 이용, 연구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올해에는 환자 2명이 이번 연구에 참여하여 신장*골수 이식을 진행하였고, 이미 1명은 성공적으로 면역억제제를 감량하고 있는 중이다.

박재범 이식외과 교수는 “2011년 ‘국내 첫 면역관용 유도 신장이식’ 을 시행한 이후 꾸준히 관련 프로토콜을 개선해 왔다. 앞으로도 이번 성과를 통해 말기신부전 환자들에게 ‘면역관용 유도 신장이식’이 궁극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Transplantation> (IF 4.743 / 2018년 기준) 10월호에 게재 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