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건강사회정책실)‧한국건강학회(이사장 윤영호)‧한국소비자연맹(회장 강정화)‧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은 공동으로 여론조사기관(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 '기업의 건강사회 기여도 평가'에 관한 주제로 일반국민(면접조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기업의 국민 건강 기여관련 일반국민(1,200명, 면접설문조사) 여론조사결과, 국민의 건강 기여도 평가에 대한 총점에서는 LG생활건강이 6.55점(10점 만점)으로 1등을 차지했다.
신체적 건강에서는 LG생활건강(6.70점), 정신적 건강에서는 이마트(6.56)점, 사회적 건강에서는 삼성전자(6.55점), 영적 건강에서는 아모레 퍼시픽(6.52점)가 1등을 차지했다.
건강사회공헌 홍보대사에 대한 선호는 남성은 유재석씨과 김종국씨, 여성은 이효리씨와 김연아씨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100대 기업에 대해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건강의 4개 영역에 대한 평가결과를 산술평균한 종합점수로 아래는 상위 20위에 해당되는 기업들 점수이다. 총점에서 LG생활건강이 6.55점(10점 만점)으로 1등을 차지했으며, 아모레 퍼시픽(6.54점), 삼성전자(6.49점), 이마트(6.49)점, SK텔레콤(6.45점)순이었다.
오뚜기, 농심이 각각 6, 7위를 차지하였으며, IT회사인 네이버가 10위에 해당되는 등 눈에 뛰는 결과이다. 공기업중에는 한국철도공사가 9위, 한국전력공사가 18위, 한국토지주택공사가 20위를 차지했다.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기업들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평가점수가 7점이상을 받은 기업은 단 하나도 없었다.
신체적 건강 관련 1위로 LG생활건강을 선택한 이유는 원재료에 대한 철저한 품질 관리(31.8%), 생산/서비스 과정의 유해요소 최소화(30.3%), 제품/서비스 개발/개선 시 신체 건강 상태 반영(21.2%), 제품/서비스 개발/개선 시 신체 건강 활동증진 반영(12.1&), 건강관련 사고 발생 시 적극적 보상(4.5%)이었다.
정신적 건강 관련 1위로 이마트를 선택한 이유는 제품/서비스 개발/개선 시 정신 건강 상태 반영(22.9%), 제품/서비스 개발/개선 시 정신 건강 활동증진 반영(22.9%), 친절한 고객 중심 서비스(22.9%), 고객의 불만에 대한 적극적 대처(17.1%), 제품/서비스에 대한 신뢰감 형성(14.3%)이었다.
사회적 건강 관련 1위로 삼성전자를 선택한 이유는, 제품/서비스 개발/개선 시 사회 건강 상태 반영(40.5%),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 형성(37.8%), 제품/서비스 개발/개선 시 사회 건강 활동증진 반영(13.5%), 고객을 차별하지 않고 존중하는 태도(5.4%), 가족/주변사람과의 관계 개선에 기여(2.7%)이었다.
영적 건강 관련 1위로 아모레 퍼시픽을 선택한 이유는 나를 가치 있게 만듦(24.4%), 삶의 만족감 향상에 도움(22.0%), 제품/서비스 개발 시 영적 건강활동증진(남을 돕기, 공헌 등) (19.5%), 나를 인간으로서 존중함(인간적으로 대함)(17.1%), 제품/서비스 개발 시 영적 건강상태(삶의 의미, 가치) 반영(17.1%)이었다.
한국소비자연맹 강정화 회장은 "소비자들에게 안전과 건강이 중요한 요소가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사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을 보였다. 기업은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하고 증진시키는데 더 노력을 해야 하며, 앞으로 이러한 기업 활동을 이끌어내고, 지속적으로 평가될 수 있도록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영호 교수는 "건강가치 부여는 기업의 비용 부담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오히려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 소비자의 건강을 향상시키고 고객의 만족도를 높여 새로운 성장 시장을 만들어 가는 사업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기회를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