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 파킨슨병 발병 확률 2배 이상 높여
대사증후군 요소 한 가지만 갖고 있어도 발생률 높아져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09-04 18:11   
 
대사증후군이 있는 그룹이 없는 그룹보다 파킨슨병이 발생할 확률이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 구로병원 김선미(가정의학과)·최경묵(내분비내과)교수팀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년 31일까지 4년간 국가에서 실시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성인 1천716만 명을 평균 5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전체 연구대상 중 34.1%인 584만8천508명이 대사증후군이 있었고, 추적기간 중 4만4천205명이 새롭게 파킨슨병으로 진단됐다.

대사증후군 그룹의 파킨슨병 발병률은 1천 명당 0.75명으로 대사증후군이 없는 그룹의 0.34명 보다 2.2배 높았으며, 대사증후군이 있었던 사람이 없었던 사람보다 나이, 성병, 운동, 음주, 흡연 등의 모든 위험인자를 교정하더라도 24% 더 많이 파킨슨병이 발병했다.

대사증후군의 모든 요소들이 파킨슨병의 발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사증후군의 요소를 한 가지만 갖고 있어도 파킨슨병 발생률이 높아졌고 대사증후군 요소가 많아질수록 위험률도 높아졌다.

대사증후군 요소를 갖고 있지 않을 경우 파킨슨병 발생률은 1천 명당 0.20명이었으나, 1가지 갖고 있을 경우 0.34명, 2가지 0.47명, 3가지 0.61명, 4가지 0.82명, 5가지 1.09명으로 분석됐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당,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혈증 중 3가지 이상이 나타난 상태를 말한다.

김선미 교수는 "각각의 대사증후군 요인들이 모두 위험요인이고 한 가지만 갖고 있어도 파킨슨병 발생률이 높아지는 만큼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메디슨'(PLOS Medicine) 최근호에 발표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