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택 당선인 약사 폄훼 발언에, 서울시약사회 "안하무인"
17일 "임현택 의협 당선인 안하무인 깊은 유감" 입장문 내
보건의료직능에 대한 존중과 이해 찾아보기 힘들어 '지적'
품절약 사태 의료대란 발생 않은 건 '약사의 약물중재 덕분'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4-17 17:17   수정 2024.04.17 17:18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 당선인의 약사 폄훼 발언에 대해 서울특별시약사회(이하 서울시약사회)도 칼을 빼들었다.

서울시약사회는 17일  “최근 약사직능과 약료를 폄훼하는 임현택 의사협회 당선인의 안하무인적인 발언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앞서 임 당선인은 스스로 공개한 경제정의실천연합 측에 보낸 항의 공문에서 현행 의약분업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자동포장기가 약을 짓고 있는 대한민국 약국에서, (중략) 국민 호주머니에서 엄청난 돈이 본인도 모른 채 나가고 있는' 등의 표현을 써 약사 직능을 폄훼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시약사회에 따르면, 약료서비스는 환자 안전과 약물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약사가 수행하는 전문적인 서비스이자, 처방전 검토에서부터 처방약 조제 및 검수, 약물 중재, 복약상담과 환자교육, 이상반응 모니터링과 보고와 같은 복잡다단한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서울시약사회는 “의약품 장기품절 사태에서 의료대란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동일성분조제, 처방의와 협의를 통한 처방변경 등 약사의 적극적인 약물중재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오늘도 약국현장에서는 중복약 처방, 금기약 처방, 용법·용량 오류, 처방약 오류 등 크고 작은 처방오류를 바로잡는 약사의 약물중재 행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임 당선인이 말한 ‘국민 호주머니에서 나가는 엄청난 돈’은 약국 때문이 아니라 의사의 처방행태에 있음을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우리나라 보건의료시스템에는 의사만 있는 것이 아니라고 서울시약사회는 강조했다. 국민의 생명과 건강은 다양한 보건의료직능의 협업 없이는 불가능한 만큼 상대 보건의료직능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과 이해는 기본이라는 것. 임 당선인의 주장에는 여러 보건의료직능에 대한 기본적인 존중과 이해는 눈꼽만큼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서울시약사회는 우려하고 있다.

서울시약사회는 “보건의료서비스는 의사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며, 전공의 파업이 국민들에게 지지받고 있지 못하는 현실도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라면서 “앞으로 전국 의사를 대표하는 의사협회의 새 수장으로서 상대 보건의료직능을 존중·인정하는 품위와 품격을 갖춰나가길 간곡히 바란다”고 전했다.
 

[이하 서울특별시약사회 입장문 전문]

서울특별시약사회는 최근 약사직능과 약료를 폄훼하는 임현택 의사협회 당선인의 안하무인적인 발언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

약료서비스는 환자 안전과 약물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약사가 수행하는 전문적인 서비스이자, 처방전 검토에서부터 처방약 조제 및 검수, 약물 중재, 복약상담과 환자교육, 이상반응 모니터링과 보고와 같은 복잡다단한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의약품 장기품절 사태에서 의료대란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동일성분조제, 처방의와 협의를 통한 처방변경 등 약사의 적극적인 약물중재가 있었기 때문이다.

오늘도 약국현장에서는 중복약 처방, 금기약 처방, 용법·용량 오류, 처방약 오류 등 크고 작은 처방오류를 바로잡는 약사의 약물중재 행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임 당선인이 말한 "국민 호주머니에서 나가는 엄청난 돈"은 약국 때문이 아니라 의사의 처방행태에 있음을 반성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보건의료시스템에는 의사만 있는 것이 아니다. 국민의 생명과 건강은 다양한 보건의료직능의 협업 없이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대 보건의료직능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과 이해는 기본이다.

약사의 전문적인 약료서비스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임 당선인의 주장에는 여러 보건의료직능에 대한 기본적인 존중과 이해는 눈꼽만큼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럽다.

보건의료서비스는 의사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며, 전공의 파업이 국민들에게 지지받고 있지 못하는 현실도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앞으로 전국 의사를 대표하는 의사협회의 새 수장으로서 상대 보건의료직능을 존중·인정하는 품위와 품격을 갖춰나가길 간곡히 바라는 바이다.

 

2024.4.17.

행동하고 실천하는 서울특별시약사회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