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용재고약·품절약 해법 찾기 민관협의체 구성
복지부·식약처·약업계 3단체, 반품 등 제도 개선방안 마련 나서
김정일 기자 ji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08-13 14:09   수정 2021.08.13 14:09

불용재고약과 품절약의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복지부, 식약처, 약업계 3단체가 참여하는 민관협의체가 구성된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약사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의약품유통협회는 지난 11일 대한약사회관에서 만성적인 불용재고의약품 문제해결과 품절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의약분업 시행 이후 20여년 동안 고질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불용재고의약품 문제 해결을 위해 약업계와 정부 부처가 협력해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5년간 반품의약품 규모가 평균 2조7,400억원(건강보험심사평가원 완제의약품 유통정보 통계)에 이를 정도로 반품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커지고 있다. 이에 지난 2월 약업계 3개 단체가 해결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구체적인 개선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약업계 3개 단체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하고, 실무협의를 통해 불용재고의약품 발생 감소와 원활한 반품 및 관리 등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향후 진행될 실무협의에서는 불용재고의약품 해소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모색과 함께 현재 약국과 의약품 유통업체에서 보관 중인 불용재고의약품을 해소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처방의약품의 잦은 품절과 공급 지연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이 발생되는 문제점에 인식을 같이하고 품절의약품에 대한 관리기준 마련 방안도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이번 간담회에는 대한약사회 김대업 회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 한국의약품유통협회 조선혜 회장, 보건복지부 이창준 보건의료정책관, 식품의약품안전처 강석연 의약품안전국장 등이 참석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