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공적마스크 판매로 공적인 역할 인식 확산”
대약 이광민 실장, 향후 구매이력시스템 고도화·모바일 건강보험증 도입 등 필요
김정일 기자 ji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7-09 06:00   수정 2020.07.09 06:51
약국이 공적마스크 판매로 얻은 성과는 보건의료기관으로서 약국의 공적인 역할에 대한 대국민 인식 확산이라는 평가다.

대한약사회 이광민 정책기획실장<사진>은 8일 브리핑에서 11일 종료되는 약국 공적마스크 판매와 관련해 “공적마스크 제도는 감염병 확산 우려와 불안으로 마스크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공급은 부족했기 때문에 사회적 혼란과 가격 폭등 등 여러 가지 현상이 발생했다”며 “공적마스크가 이같은 상황을 빠르게 안정시킨 것이 사실이다. 당시 약국은 어려움과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릅쓰고 공적마스크 판매를 진행했다”고 언급했다.

이광민 실장은 “사회적 불안과 불만이 증폭되면서 약국 현장에서 이를 오롯이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며 “약국에 흉기가 등장하고, 약국 유리창이 깨지고, 욕은 비일비재했다. 이로 인해 경찰이 출동했던 것도 굉장히 많았다. 실제 트라우마를 겪는 약사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광민 실장은 “국가가 감염병 확산이라는 위기에 빠졌을 때 보건의료기관으로서 약국이, 주요 전문가인 약사가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공적마스크 판매라는 역할을 부여받아 성실히 수행했다”며 “그 과정에서 국민들이 다른 어떤 전문기관보다 접근성이 뛰어난 약국에 대한 인식, 약국이 약을 판매하는 곳을 넘어서 보건의료기관으로서 공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곳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자기 필요가 있어야 직능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다. 그러다보니 건강한 젊은층은 약국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는데, 공적마스크로 약국 방문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약국과 약사의 역할을 알릴 수 있었다는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약국을 통해 보건·방역용품이 공급되는 것이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가 하는 인식을 심어줬다”며 “앞으로도 마스크를 포함해 방역용품들이 약국에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식약처 등 정부와 유통업체에 관련 부분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또한 “이같이 인식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미션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광민 실장은 “공적마스크 판매를 종료하면서 가장 신경쓰는 건 재고 문제다. 대략 1억장 정도가 되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다”면서 “우선 회원약국에 7월 15일까지는 공적마스크 반품 수량을 유통업체에 보고토록 공지했다. 공적마스크 재고분과 별도 구매 마스크가 겹치는 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한 반품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향후 공적마스크 판매 재개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공급에 비해 수요가 크게 많아져 사재기가 발생하고, 마스크 구매가 어려워지거나 시장 상황을 제어하기 어려워지면 정부에서 공적마스크 판매에 대한 재요청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런 상황이라면 당연히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광민 실장은 “코로나19와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때 준비된 상태에서 맞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구매이력 시스템이 고도화돼야 한다. 여러 가지 공평하게 나눌 수 있는 부분을 시스템으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구매이력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약국 현장에서는 서버가 다운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많았다. 안정화를 위해 서버도 보완해야 한다. 또 모바일 건강보험증 도입도 필요하다. 주민등록증을 받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낙후된 상황이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적마스크 면세와 관련해서는 “공적마스크 면세 문제는 여당, 정부에서 약사들의 헌신과 현장의 어려움을 알고 있어서 이를 평가해줘야 하지 않냐고 제안했던 것이다. 지난달 박홍근 의원이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는데 이것이 전부 수용되지는 않더라도 소득세 부분은 면세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며 “금액이 문제가 아니라 약사의 헌신에 대한 평가로서, 격려와 위로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