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는 지난 22일 명동 르메르디앙 호텔에서 혈우병 전문 의료진 대상 혈우병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대구가톨릭대 소아청소년과 최은진 교수를 좌장으로 인하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정아 교수가 ‘혈우병 치료 환경의 진화’라는 주제로 기존 인자보충요법과 비응고인자 치료법을 포함한 최신 치료법의 장단점과 특성을 발표했다.
박정아 교수는 “환자의 주요 변수와 상태를 충분히 고려한 치료제 선택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최근 혈우병 치료 영역에서 다양한 신약들이 출시되는 만큼 신약과 기존 치료제들의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환자에게 맞는 최적의 치료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체내 응고인자 수치 별 활동을 보면 여전히 기존 인자보충요법이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은진 교수는 비응고인자 치료법과 유전자 요법을 포함해 다양한 혈우병 치료 신약들의 출시를 반기면서도, 장기적인 안전성의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환자가 갖고 있는 위험 요소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치료 전략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발표 세션이 끝난 후, 패널 토의 시간에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박영실 교수을 포함한 국내 혈우병 전문의들이 참석해 응고인자와 비응고인자 요법의 최신 치료 지견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패널로 참석한 전문가들은 “많은 신약들이 출시를 앞두고 있어 안전한 사용을 위해 신약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시기”라고 입을 모았다.
GC녹십자 남궁현 국내영업부문장은 “앞으로도 GC녹십자는 의료인들이 환자들을 위해 더 나은 진료 환경을 구축하는데 책임과 사명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