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국제 뇌혈관생물학회서 'IGF1R 기반 BBB 셔틀' 우수성 소개
설치류부터 인간까지 탁월한 교차 반응성 통한 높은 BBB 투과율 확인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6-14 16:07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스웨덴 웁살라 개최되는 CVB(Cerebral Vascular Biology, 뇌혈관생물학회)에 참가하여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CVB는 현지시간으로 18일부터 22일까지 개최되며, 로슈(Roche) 및 디날리(Denali)를 비롯한 세계적인 유수 대학들이 참여해 BBB(Blood Brain Barrier, 뇌혈관장벽), 뇌종양, 신경퇴화 및 혈관노화 등 뇌혈관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학술자료를 발표한다.

본 학회에서 에이비엘바이오는 IGF1R(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 Insulin-like growth factor 1 receptor) 기반 셔틀로 BBB를 효율적으로 투과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플랫폼 기술(Grabody-B)을 포스터로 소개한다. 

포스터에 따르면 Grabody-B는 설치류부터 영장류, 인간(인간 유래 IGF1R 재조합 단백질 실험)에 이르기까지 탁월한 교차 반응성을 통해 높은 BBB 투과율을 보였다. 해당 과정에서 IGF1과 IGF1R 사이 결합이나 관련 신호작용을 방해하지 않아 우수한 안전성을 나타냈다. 또한 결과적으로 파킨슨병의 주요 발병 원인으로 알려진 알파시누클레인(alpha-synuclein)의 감소 및 투여 대상의 행동 개선이 확인되어 차기 파킨슨병 치료제로서의 유의성을 시사했다.

Grabody-B는 해당 플랫폼이 적용된 파이프라인 ABL301이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Sanofi)에게 기술이전되며 주목받은 바 있다. 플랫폼 기술인만큼 다양한 뇌질환으로의 확장 이 가능해 개발 잠재력이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IGF1R은 타조직에 비해 뇌에 특히 많이 분포해 있어 기존 TfR(트랜스페린 수용체, Transferrin receptor)기반의 뇌질환 치료제와 비교해 더욱 안전하게 약물을 뇌로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 에이비엘바이오는 Grabody-B의 확장성을 기반으로 퇴행성 뇌질환 뿐 아니라 뇌종양, ASO(Antisense oligonucleotide), RNAi(RNA interference) 치료제 등 Grabody-B에 대한 활발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차세대 BBB 셔틀로서의 Grabody-B의 우수함을 세계적인 학술무대를 통해 알리게 되어 의미 깊게 생각한다”면서 “뇌질환 치료는 글로벌 제약사들을 포함한 수 많은 기업이 글로벌 임상을 진행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미충족 수요가 높은 상황이다. Grabody-B는 기존의 방식을 답습하지 않아 혁신성을 갖추었고 데이터를 통해 효능이 입증되고 있어 미충족 수요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의 가치를 설명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의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등 6개 이상 파이프라인들에 대한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에서 14개 이상의 글로벌 임상이 단독 또는 파트너사와 함께 진행 중에 있으며, ABL103(B7-H4x4-1BB),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도 단독 또는 파트너사와 함께 임상 진입을 준비 중에 있다. 또한, ABL102(ROR1x4-1BB), ABL602(CLL1xCD3)를 비롯한 다수의 비임상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역시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