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버크, 궤양성대장염 3상 발표‥1·2차 평가변수 충족
궤양성대장염 환자 746명‥52주 1일 1회 15㎎·30㎎ 투여 후 절반 가량 '임상적 완화' 달성
김상은 기자 kim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07-06 06:00   수정 2021.07.06 06:07
우파다시티닙(Upadacitinib, 상품명:린버크)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 치료 효과가 앞서 발표된 안전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국적 제약사 애브비(NYSE: ABBV)는 최근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1년(52주)간 우파다시티닙 15㎎ 또는 30㎎을 매일 한번씩 투여해 안전성과 효능성을 관찰한 결과 시험군이 1차 평가변수 및 2차 평가변수에도 충족했다고 발표했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우파다시티닙 45㎎를 8주간(1일 1회) 투여 받은 후 ‘부분 적응 메이요 점수(partial Adapted Mayo Score)’에 따른 임상반응에 도달한 중등도~중증 궤양성 대장염 성인 환자 746명이 포함됐다. 연구진은 이들을 무작위로 우파다시티닙 15㎎ 투여군 및 30㎎ 투여군, 위약군으로 나눠 52주간 추가로 예후를 관찰했다. 

그 결과 위약에 대비 52주차에 유파다시티닙 투여 환자군에서 절반 가량 1차 평가변수인 관해(임상적 완화) 기준을 달성해 위약군 12%(p<0.001) 대비 ▲15㎎ 투여군 42% ▲30㎎ 투여군 52%가 이에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평가변수에 포함된 내시경으로 관찰된 점막 개선에서도 위약군 14% 대비 우파다시티닙 ▲15㎎ 투여군 49% ▲30㎎ 투여군 62%가 기준치를 달성했고, 조직내시경 점막 개선(HEMI)에서도 위약군 12% 대비 ▲15㎎ 투여군 35% ▲30㎎ 투여군 49%가 이를 충족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2차 평가변수 중 부신피질호르몬 없이 관해에 도달한 환자 비율에서도 위약군 22% 대비 ▲15㎎ 투여군 57% ▲30㎎ 투여군 68%(p<0.001)로 나타나 효과를 입증했다.

우파다시티닙 투여군에서 관찰된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은 비인두염, 궤양성 대장염의 악화, 혈액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 증가 등이었다. 환자 100년 당 이상 증상에 노출 사건 비율은 ▲15㎎ 투여군 16.0건 ▲30㎎ 투여군 13.8 건, 위약군에서 26.1 건이었다.

캘거리 대학 의대 교수이자 학장인 Remo Panacione는 "궤양성 대장염은 관리하기 어려운 질병이며, 많은 환자들이 이러한 부담스러운 증상을 해결할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