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임바이오 김홍렬대표, 임시주총서 경영권 회복
주주들 절대적 지지 확보, 암치료제 스타베닙 임상1상 마지막 박차
이종운 기자 news@yakup.co.kr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05-26 08:31   수정 2021.05.26 08:43
암세포만 굶겨죽이는 대사항암제 스타베닙으로 유명한 하임바이오가 최근 열린 임시주총에서 주주들의 지지를 받아 김홍렬 대표가 다시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고 26일 밝혔다. 경영권을 되찾은 김홍렬 대표를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경영권이 인바이오젠 측으로 넘어가고 김대표는 해임되었는데 어떻게 재선임되었나요?

인바이오젠이 하임바이오에 50억원을 투자하여 최대주주로 된 후 경영권을 확보했으나 최근 열린 임시주총에서 인바이오젠 측 임원들이 전원 물러났습니다. 제가 다시 주주들의 재신임을 받았습니다. 바이오산업은 비전문가 영역이 절대 아닙니다. 막대한 자금도 필요하나 바이오 전문가가 반드시 필요한 산업입니다. 제가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주주들이 현재 진행중인 임상에 대한 지속성과 전문성을 인정해 주신 것같습니다. 새로운 경영진들과 함께 제2의 도약을 시도하겠습니다.

-세브란스병원에서 진행중인 임상1상 진행 상항은?

매우 순조롭게 진행중입니다. 세브란스병원에서 진행 중인 임상 1상은 펜포르민(Phenformin)과 고시폴(Gossypol) 각각에 대한 암환자 대상 독성검사입니다. 고시폴에 대한 환자투여 결과는 마무리되어 데이터 정리 중이고, 펜포르민은 몇몇 환자 테스트만 남은 상태로서 마무리 임상실험 중입니다.

임상1상이 끝나면 임상2상은 진행은 어디서 할 건지요?

임상2상 IND준비를 BNP LAB과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임상1상이 끝나면 식약처에 제출할 리포트 보고와 함께 스타베닙 임상 2상 실험을 위한 IND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내와 해외에서 동시에 실시할 예정입니다.

향후 추가임상 계획은?

지난 해 말부터 아산병원과 함께 독자적으로 실험 계획하여 얻은 뇌암에 내성항암제와의 병용데이터가 아주 좋은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회사발전을 위해 하임바이오에 특허이전 하겠습니다. 2상에 진입할 뇌암(GBM)과 뇌암 내성암 환자 쌤플을 토대로 한 결과들을 적극 활용하여 투자유치와 기술이전에 따른 자본유치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뇌암 외 다른 암종도 진행할 예정인지?

임상 2상은 뇌암을 먼저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어서 위암, 췌장암, 비소세포암(NSCLC), 대장암, 유방암, 백혈병 등 다양한 암종에서 단독 적용할 예정입니다. 또한 다양한 종래 표적 항암제와 스타베닙 병용 투여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미 국립암센터의 김수열 박사가 동물실험으로 낸 결과를 하임바이오로 특허이전 한 상태로 여러 암종 군에서 임상실험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입니다. 두 물질의 각각의 임상 1상 독성 검사가 마무리 중입니다.

기존 항암제와 병용투여도 검토중인 것으로 아는데?

그렇습니다. 기존 항암제와의 병용투여로 상승 효과가 기대됩니다. 이미 일부 암에서는 오가노이드(organoid, 장기유사체) 실험결과와 함께 병합투여를 시도할 실험실적 데이터와 동물실험 데이터가 연구진에 의해 준비된 상태입니다.

최근 고시폴이 직접적인 저해인자(inhibitor)임을 밝혔다고 하는데?

부산대 장세복 교수가 ALDH 효소와 LDH 효소에 하임바이오가 임상중인 고시폴이 직접적인 저해인자(inhibitor)임을 확인했습니다. 정확한 분자구조와 저해부분을 확인했습니다.

면역항암제와 스타베닙과의 병용 시너지 효과도 실험중이라고 하던데?

암치료의 하나의 큰 문제점인 유산 생성에 조절부분과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면역항암제와 면역조절 T세포(Treg) 관계에서 ALDH 조절이 면역항암제의 활성도에 영향을 주는 점을 착안 면역항암제와 스타베닙과의 병용 시너지 효과도 실험 중에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제와 치료제의 논문 사이언스 시그널링(Science signaling)지에 통과되었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언제 출간되나요?

제가 작년부터 개발해온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제 및 치료제의 논문'(Long-chain polyphosphate impair Sars-CoV-2 infection and replication)이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인 사이언스 시그널링(Science signaling)지에 게재가 확정되었다고 정식 통보받았습니다. 곧 논문이 출간될 예정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제와 치료제 개발은 어떻게 진행할 예정인가요?

이탈리아 나폴리 쎄인지(CEINGE) 생명공학연구소 마시모 졸로(Dr. Massimo Zollo) 박사와 합의하여 적극 추진할 예정입니다. 제품생산을 위한 임상 실험과 cGMP 공장건설을 협의 중입니다.

다시 경영권을 되찾았는데 앞으로의 계획은 어떤지요?

저는 바이오전문 연구자입니다. 종래의 고질적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전염성 질환들에 공통적으로 치유가능 약물도 발견했습니다. 하임바이오 플랫폼 기술과 접목하여 하임바이오가 재도약하는데 비밀병기로 활용할 계획이다.

끝으로 김홍렬 대표는 “곧 성수동 신사옥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또한 임상2상 시험을 스타베닙과 표준 항암제와의 다양한 암종에 병용투여도 기획하고 있다. 제2, 제3의 GBM 임상 투여 가능약물도 준비했다 임상2상부터는 국내와 해외 등 대형 제약사(빅파머)에 라이선스아웃(L/O)도 진행 중이다. 암치료제 개발을 위해 유럽과 북미 등 세계 유수 글로벌제약사를 적극 접촉하여 투자유치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영권을 되찾은 김홍렬 대표는 국내 인(燐)중합체(Inorganic Polyphosphate) 분야 독보적인 연구자다. 스탠포드 의대에서 박사 후 연구 과정 중 DNA 복제와 인중합체 분야 연구에서 ‘천식을 유발하는 토양세균에서 인 중합체와 관계되는 경색조절 현상’을 발견한 후 거의 30년간 인(燐)중합체(Inorganic Polyphosphate)를 연구해 온 바이오전문가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