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잔즈, RWD 통해 ‘단독요법 유효성’ 장점 재조명
약효·복약 편의성 등 TNF-a 억제제 미충족 수요 충족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11-03 06:00   수정 2020.11.03 06:53
경구용 JAK 억제제인 젤잔즈(성분명: 토파시티닙)가 류마티스관절염에서 리얼월드 데이터를 통해 단독요법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등 TNF-a 억제제가 가졌던 미충족 수요를 충족시킨 장점이 재조명됐다.

최근 개최된 제40차 대한류마티스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제14차 국제심포지엄(KCR 2020) 내 런천 심포지엄에서 미국 뉴욕 웨일 코넬 메디컬센터의 세르지오 슐츠만 교수는(Sergio Schwartzman MD, Weill Cornell Medical Center) 류마티스관절염 치료 옵션 리뷰(Practical Review of RA Treatment Option)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발표에서 슐츠만 교수는 젤잔즈의 두 가지 리얼월드 데이터를 조명했다.

스위스에서 진행된 류마티스관절염 레지스트리 데이터 연구(2015년 1월~2017년 4월) 결과에 따르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총 144명이 젤잔즈 5mg 1일 2회 요법으로 치료받은 결과 젤잔즈의 전반적인 약물 지속성이 생물학적 제제와 유사하며, TNF-a 억제제와 비교했을 때는 유의미하게 높다는 것이 확인됐다.

연구는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에서 세 가지 치료 대안(젤잔즈, 항TNF제제,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제(OMA))의 임상적 효과와 치료 지속성을 비교하기 위해 이뤄졌다. 총 144명의 환자가 젤잔즈 5mg 1일 2회 요법으로 치료받았다.

2013년 8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분석이 진행됐으며, 총 2,600명의 환자 데이터가 수집됐다. 데이터는 젤잔즈 투여 환자 652명(23%)과 bDMARD 투여 환자 2158 명(77%)에서 추출됐다.

연구 결과, 젤잔즈 병용요법과 단일요법의 지속성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항TNF제제의 경우, 단일요법에서 지속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12개월 시점에서 젤잔즈 치료군과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제(bDMARD-OMA)의 낮은 질병 활성도(LDA) 지수는 단일요법으로 인해 감소하지 않음다. 그러나 항TNF제제의 낮은 질병 활성도(LDA) 지수는 단일요법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리얼월드 데이터는 젤잔즈 단독요법으로서의 유효성도 나타냈다. 젤잔즈는 단독으로도 효과가 있어 환자가 메토트렉세이트(MTX) 독성을 피할 수 있고, 한꺼번에 다수의 약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호주에서 후향적, 비중재연구(non-interventional) 코호트 연구로 진행된 리얼월드 데이터에 따르면(2015년 3월~2018년 9월) 생물학적 항류마티스 제제(bMARDs)에 대비 젤잔즈 단독 요법이 더욱 많이 사용되는 경향이 관찰되기도 했다. 

연구는 42개 류마티스 질환 클리닉에서 모집된 호주 OPAL 데이터세트에서 토파시티닙 혹은 항류마티스 약물(bMARDs) 사용 신규 환자 데이터 추출 방식으로 이뤄졌다. 2015년 3월과 2018년 9월 사이에서 데이터가 모집됐으며, 환자의 연령은 18~94세였다. 데이터는 젤잔즈 투여 환자 652명(23%)과 bDMARD 투여 환자 2158명(77%)에서 추출됐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모든 평가 지표에서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제(bMARD) 치료군과 젤잔즈 치료군의 차이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낮은 질병 활성도(LDA) 지표의 경우, 젤잔즈가 대체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치료 패턴 부분에서는 젤잔즈 치료군(43.4%, n=282/650)이 생물학적 항류마티스제제(bDMARD)(33.4%, n=719/2154) 치료군보다 단일요법 처방을 더 많이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더 많은 환자가 단일 요법으로 젤잔즈를 처방받은 것이다.

슐츠만 교수는 “일부 환자에서 내성으로 인해 약효가 소실되기도 하는 TNF-a 억제제와 다르게, 젤잔즈는 면역원성으로 인한 약효 감소에서 자유로울 뿐 아니라 경구제제로 복용과 보관이 편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젤잔즈는 JAK 억제제 최초로 류마티스관절염에서 9.5년 장기 데이터를 통해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입증해오고 있다. 젤잔즈의 전반적인 약물 지속성 역시 생물학적제제와 유사하며, TNF-a 억제제와 비교했을 때는 유의미하게 높았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