덱사메타손, mRNA백신 코로나 임상서 안전·유효성 확인
덱사메타손 ‘산소 투여’ 환자서 효과 더 높아…모더나 백신 이달 3상 예정
박선혜 기자 loveloves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7-20 12:00   수정 2020.07.20 13:43
최근 코로나19 치료제 ‘덱사메타손’과 백신 ‘mRNA-1273’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 주목된다.

뉴잉글랜드의학저널(JEJM) 최근호에서 옥스퍼드 대학병원, 노팅엄 대학병원 등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서 덱사메타손 치료효과’에 대한 협력연구 예비 임상결과를 발표했다.

Covid-19로 입원 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공개 라벨 시험에서, 연구팀은 최대 10일 동안 경구 또는 정맥 내 덱사메타손(하루에 한 번 6mg씩)을 투여하고 28일 째 일차 결과를 도출했다.

총 2104명의 환자에겐 덱사메타손 투여를, 4321명의 환자는 일반적인 치료를 받았다. 전체적으로, 덱사메타손 그룹에서 482명의 환자(22.9%)와 일반 치료 그룹에서 1110명의 환자 (25.7%)가 무작위 배정 후 28일 이내에 사망했다(0.83; 95 % 신뢰 구간 CI 0.75 ~ 0.93 ; P <0.001). 

비례적 및 절대적 사망률의 그룹 간 차이는 환자가 받고 있는 호흡기 치료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덱사메타손 투여 그룹 결과, 침습적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29.3% 대 41.4%)와 침습적 인공호흡기 없이 산소 투여만 받는 환자(23.3% 대 26.2%) 모두 일반 치료군에 사망률이 더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호흡기 치료가 없는 환자와 일반 치료군을 대조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17.8% 대 14.0%; 95% CI, 0.91 대 1.55)

연구팀은 “덱사메타손 그룹의 환자는 일반적인 치료 그룹의 환자보다 입원 기간이 짧았으며, 28일 이내에 생존율이 더 높았다”며 “특히 Covid-19로 입원 한 환자에서도 침습성 기계 환기 또는 비침습성 기계 환기를 받는 환자의 경우 사망률 감소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mRNA-1273백신 임상 결과, 모든 참가자에게 항체 면역 생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mRNA-1273은 모더나에서 개발하고 있는 mRNA백신으로, 바이러스에서 유전적으로 파생된 RNA 또는 mRNA를 사용해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항체를 형성한다.

연구팀은 18~55세 성인 45명에게 25~250μg의 용량의 mRNA-1273을 28일 간격으로 2회 투여했다. 각 용량 그룹에는 15명의 참가자가 참여했다.

첫 번째 백신 접종 후, 항체 반응은 고용량 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평균 역가, 25μg 그룹에서 40,227, 100μg그룹에서 109,209, 및 250μg 그룹에서 213,526). 29일째 ELISA 검사 anti-S-2P 항제 GMT가 가장 높았다. 이는 두 번째 백신 접종 후(57일 째), 각각 그룹의 역가는 더욱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각각 299,751, 782,719, 1,192,154). 

두 번째 백신 접종 후 혈청 중화 활성 정도를 두 가지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백신 투여군의 항체값은 대조군의 회복기 혈청 표본의 패널 분포 상반부 값과 유사한 수치로 측정됐다. 

부작용은 참가자의 절반 이상에서 주사 부위의 피로, 오한, 두통, 근육통 및 통증이 있었으며  두 번째 예방 접종 후 전신 이상반응이 더 흔하게 나타났다. 250μg 투여군 중 3명(21%)이 1가지 이상 중증 부작용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결과적으로 mRNA-1273 백신은 투여 후 모든 참가자에서 항-SARS-CoV-2 면역 반응을 유도했으며, 안전성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이번 모더나 결과는 임상 1상시험으로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데, 현재 고용량에서 중증 부작용이 나타났기 때문에 더 진행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중화항체 값이 어느정도 있어야 코로나를 예방할지는 아직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번 실험은 대조군의 항체 값과 비교했던 것 같다. 결론적으로 안전성이나 유효성이 기대한만큼 나왔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