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치료제 신약개발 전문기업 보로노이는 29~30일(현지시간은 28~29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미국암학회(AACR),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유럽암학회(EORTC) 공동 주최 ‘분자 타깃 암 치료(Molecular Target and Cancer Therapeutics)학회’에서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제 연구 성과를 첫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특히 이날 AACR 대표인 마가렛 포티 박사는 보로노이 포스터 발표장 사진을 트위터에 올리며 “분자 타깃 암 치료에 대한 최근 연구성과가 게재된 타깃19 세션들에 많은 관심이 쏟아졌다”고 언급했다.
이번에 발표된 보로노이 신약후보물질 개발에 참여한 김성환 박사는 “ 폐암 분야 최고 권위자인 파시 야니 하버드 의대 교수와 AACR 대표 마가렛 포티 박사 등 많은 분들 앞에서 신약후보물질을 첫 공개해 기쁘다”며 “가능한 빠른 속도로 개발을 완료해 환자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보로노이에 따르면 회사 신약후보물질은 비소세포성 폐암 중에서도 아직 치료제가 전혀 없는 EGFR 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에 의한 폐암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EGFR 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는 정상 EGFR과 단백질 구조가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그동안 이 돌연변이만 선택적으로 찾아내 치료하는 약물을 개발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회사 신약후보물질은 EGFR 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약효와 내약성이 뛰어난 반면 독성은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보로노이 신약후보물질은 일본 다케다가 개발 중인 TAK-788과 미국 스펙트럼이 개발 중인 포지오티닙(Poziotinib) 등 경쟁물질에 비해 약효가 우월하면서도 독성은 더 낮은 것으로 동물실험결과 확인됐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보로노이 관계자는 " 이번 학회에서는 보로노이 신약후보물질의 뇌 투과성 관련 연구자들 관심이 높았고, 비소세포성 폐암환자 40% 가량이 암의 뇌전이로 인해 사망하게 됨을 고려할 때, 보로노이 신약치료 후보물질이 폐암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기 때문"이라며 "경쟁사 개발물질 경우 폐에서 뇌로 전이된 암을 치료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해당 물질에 대해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로노이는 저분자 화합물 기반으로 Kinase 저해 표적 치료제 신약을 개발하는 회사로, 물질 발굴부터 전기 임상단계 까지만 집중하고, 후기 임상 이후 단계는 글로벌 제약사에 라이선스아웃(L/O) 하거나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개발을 진행해 수익을 내는 사업모델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