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기업들이 2018년 160조원 규모로 세계 2위인 중국 의약품 시장에서 많은 매출을 올리기 위해 도매상과 협력이 중요하다고 제시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가 중국화학제약공업협회(회장 판광청)와 22일 서울 강남구 임피리얼팰리스호텔에서 연 제6회 한・중 공동세미나에서 "한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중국 측은 “ 여러 가지 고려 요인이 있겠지만, 중국은 지역이 매우 넓어 전국에 판매할 수 있는 도매상과 파트너링이 매출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답했다.
한편 세미나에서는 지난 몇 년간 변화해 온 중국 의약품 시장 정책 변화가 중점 다뤄졌다.
‘중국의 새로운 약사법의 변화’를 발표한 리우위엔 캡슈젤 대중화지역 시니어 마케팅 매니저는 최근 중국 의약품관리법에서 가장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의약품 시판 승인 취득자(Marketing Authorization Holder, MAH) 제도’ 도입이라고 분석했다.
허가권자 자격이 이전에는 의약품 생산기업으로 한정됐다면 이번 제도 도입으로 개인, 연구소, 제약기업 등 의약품 연구개발 주체로 신청 자격이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리우위엔 매니저는 “의약품 시판 승인 취득자 정의와 책임을 명확히 해 중국 내 의약품 연구개발에 대한 추진력이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기업의 사업운영 환경이 보다 자유롭고 역동성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가오위란 중국화학제약공업협회 사무차장은 “시판허가권자 제도가 도입되면서 기업중심에서 제품중심으로 관리가 전환됐다”며 “이로써 의약품에 대한 품질관리, 안전성 및 유효성 보장, 배상 책임 능력 등 의약품의 전주기적 관점에서 엄격한 책임의무가 강화되는 추세”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