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제약, 유통협회 라니티딘 정산 기준 수용
대형품목 보유 제약사 향후 행보에 관심 집중
김정일 기자 ji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10-22 22:42   
라니티딘 제제에 대한 회수 정산 문제에 대해 협의조차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일부 제약사들이 의약품유통협회의 의견을 수용키로 해 주목된다.

의약품유통협회에 따르면 최근 몇몇 제약사들이 유통협회가 제시한 회수시 정산비용 기준에 대해 수용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통협회는 이달 초 제약사들을 대상으로 이번 라니티딘 제제 회수와 관련해 전문약과 일반약에 대해 각각 요양기관 공급가(보험약가)에 3%의 회수비용을, 약국의 소비자 환불품목(일반의약품)의 경우 약국 판매가 3%의 회수비용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

이같은 기준을 제시한 것은 약국 등 요양기관에 라니티딘 제제를 기준가(보험약가)로 정산하면 약을 유통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으로 받은 유통마진뿐만 아니라 이전처럼 제약사에게 공급가로 정산 받는 데 따른 이중적인 손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되기 때문이다.

지난 8일에는 일부 제약사를 만나 이번 공문과 관련한 유통업계의 상황과 함께 제약사의 협조를 요청했지만 제약사의 답변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한 제약사의 경우 유통협회에서 공문을 통해 요청한 사항을 수용하기로 하고 이에 맞춰 정산하기로 합의했다. 또 다른 제약사는 해당 내용을 두고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일부이지만 유통협회와 제약사 간 협의를 통해 라니티딘 회수 정산에 대한 합의점을 찾아가면서 아직까지 유통협회가 제시한 기준에 대해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는 제약사들의 향후 움직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 일부 제약사가 유통협회가 제시한 요청을 받아들인 것은 유통업계에서 제시한 조건이 무리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한다는 입장이다.

의약품유통업계 관계자는 “대형 품목을 가진 제약사들이 중요한데 아직까지 전혀 답을 하지 않고 있다”며 “한 제약사는 도매담당 업무를 없애면서 의견을 전하기도 어려워졌다. 이 제약사의 경우 라니티딘 정산 문제를 누구와 논의해야 할지도 고민스러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제 유통업체들이 본격적으로 회수를 시작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제약사도 신속히 회수를 마무리하기 위해 하루빨리 협의를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