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한인제약인협회(KASBP),최신 신약 R&D성과 대거 발표
10월 26-27일 데드햄서 ‘성공적 신약개발 타깃 선정’ 주제 가을 심포지엄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04 09:11   수정 2018.10.04 09:15

재미한인제약인협회(Korean American Society in Biotech and Pharmaceuticals, 이하 KASBP)가 주최하고 대웅제약과 LG 화학이 공동 후원하는 2018 KASBP 가을 심포지엄이 오는 10월 26-27일(금, 토) 미국 매사츄세츠 보스턴 근교 데드햄에 위치한 Hilton 호텔(Hilton Dedham, 25 Allied DR, Dedham, MA 02026, USA)에서 열린다.

한미 양국 제약산업 및 생명과학 분야 전문인들이 참가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성공적인 신약개발을 위한 타깃 선정’을 주제로 진행된다. 심포지엄 관련 스케줄 및 세부사항들은 KASBP 웹사이트(www.kasbp.org)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현재 온라인등록도 가능하다. 심포지엄 조기 등록은 10월 12일까지지만, 그 이후 단계별로 10월 21일까지 온라인 등록은 이어진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먼저 대웅제약 부회장을 역임한 이종욱 박사의 식도 퇴조 질병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치료를 위한 대웅제약 신약개발 경험을 듣는 기조 연설을 시작으로, 효과적 약물설계(drug design)를 위한 cryo-EM의 이용 가능성, 암으로 변이된 B-cell을 치료할 수 있는 CAR-T 치료법 개발 현황, 면역치료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약물 조합 치료 (drug combination therapy) 연구성과가 발표된다.

또 유전자가위기술 (CRSPR)을 통한 치료법을 가능케 하기 위한 선결 과제 중 하나인 효과적인 세포내 전달 기술 연구, 신경퇴행성 질환과 폐섬유종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 현황 등 KASBP 심포지엄을 통하지 않고는 접하기 힘든 최신 연구 성과들이 대거 발표된다.(제목과 발표자 하단)

KASBP가 힘을 쏟고 있는 것은 심포지엄 발표 뿐 만이 아니다.

KASBP는 지속적으로 다음 세대 연구자 및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생명과학 분야 박사과정 대학원생 및 박사 후 연구과정을 밟고 있는 우수한 연구자들 선발해 꾸준히 장학금을 수여해 오고 있다.

이번 2018 가을 심포지엄에서도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수상자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하고 본인들의 연구를 간략하게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예정이다. 수상자들은 포스터 발표 시간을 통해 본인들 연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다른 참석자들에게 설명하고 토론하게 된다.

그밖에 모든 심포지엄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전공 및 연구 주제별 모임 자리를 마련해 그들이 각자 연구분야 및 관심 있는 주제를 따라 모여 전문지식과 최신 정보를 나눌 수 있는 심도 있는 교류 시간도 준비하고 있다.

주최 측 관계자는 " 이번 가을 심포지엄은 미국 전역과 한국의 제약 및 바이오 산업 전문가들이 한자리에서 만나 신약개발과 제약 및 바이오 산업 분야에 걸려 있는 여러 중요한 주제를 발표하고 논의함으로써 미국 한인 제약사회 뿐 아니라 대한민국 제약산업 발전 견인차가 될 수 있는 중요한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 KASBP는 바이오텍, 제약회사 및 연구소와 연대를 통해 상호 관심사를 공유하면서 한국내 신약연구 활성화와 나아가 한국 제약산업 성장과 발전을 돕기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KASBP는 신약개발과 생명과학에 대한 학술정보 교류와 회원 간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2001년 조직된 비영리 단체로, 미국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출범해 2018년 현재 필라델피아, 보스턴, 커네티컷과 워싱턴 DC, 샌프란시스코, 일리노이 및 뉴저지에 지부를 운영하고 있다. 신약개발 분야 새로운 이슈들을 집중적으로 다루기 위해 매년 봄과 가을에 심포지엄을 열고 미국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관련 전문가들을 초청해 중요한 정보를 듣고 공유하며 같이 토론하는 기회로 삼고 있다.

1. Keynote speech: Development of new APA (P-CAB) for the treatment of GERD, DWP14012, potential candidate of best in the class, JongWook Lee, Daewoong Pharmaceuticals
2. Applications of Cryo-EM in Small Molecule and Biologics Drug Design, Seungil Han, Pfizer Inc.
3. Novel CAR-T cell therapy development against BAFF-R for B-cell malignancies, Bryan Hong Woo Kim, PeproMene Bio. Inc.
4. Combination immunotherapy enhanced anti-tumor activities of XBP1, CD138 and CS1 antigens-specific CD8+ cytotoxic T lymphocytes against multiple myeloma and solid tumors, Jooeun Bae, Harvard University
5. Delivery of CRISPR and Therapeutic Proteins with Polymer Nanaoparticle, Kunwoo Lee, GenEdit Inc.
6. From Yeast to Neurons to Patient: A Novel Drug Discovery Platform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Chee-Yeun Chung, Yumanity Therapeutics
7. Novel Therapeutic Approach to Pulmonary Fibrosis, Chun Geun Lee, Brown University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