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테믹스는 특정 유산균으로부터 분리한 나노물질의 염증성 장질환(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치료 효과를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이번에 치료 효과가 확인된 물질은 세포 간 신호전달 과정에 필요한 ‘나노베지클’ 일종이다. 이 물질은 유래에 따라 엑소좀, 미세소낭 등으로 불린다.
프로스테믹스에 따르면 전임상 과정 중 발굴한 후보물질이 최대 85%까지 염증성 장질환의 염증인자 반응을 감소시킴을 확인했다.
또 해당 후보물질은 경구 투여 동물 실험에서 장내출혈과 변 굳기 개선에 각각 약 85.7%의 개선율을 나타냈다. 기존 스테로이드계 치료제인 프레드니솔론 투약군은 장내출혈 약 66.6%, 변 굳기 개선 약 57.1%의 개선율을 보여 나노베지클의 치료 효과에 미치지 못했다. 프레드니솔론은 현재 임상 환경에서 염증성 장질환에 폭넓게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제제다.
2017년 대한소화기학회의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염증성 장질환은 완치가 어려우므로 합병증을 예방 및 삶의 질 향상을 치료 목표로 한다. 현재 임상 환경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스테로이드이나, 장기 복용이 어렵다. 최근 새로운 치료법으로 각광받는 생물학적 제제(TNF-α 억제제)도 장기 치료의 어려움과 환자 별 반응율의 차이, 치료 반응 소실 이후의 치료 등이 해결 과제로 남아있다.
프로스테믹스 관계자는 “ 염증성 장질환은 근본적으로 장내 미생물 불균형으로 인한 질환으로, 일시적 치료가 아닌 장내 환경 개선을 통한 근원적 치료가 절실하다. 이번에 발굴된 나노베지클은 장기사용이 가능하고, 비용 및 사용 면에서 환자 접근성이 높은 치료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독성시험이 완료되면 임상 시험 승인 신청을 준비하는 등 치료제 개발을 본격화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급 논문인 미국낙농학회지(Journal of Dairy Science) 최신호에 “Therapeutic effects of kefir grain Lactobacillus-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 mice with 2,4,6-trinitrobenzene sulfonic acid-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대장염 유도물질 처리한 염증성 장질환 쥐를 대상으로 한 케피어 그레인 락토바실러스 유래 나노베지클을 이용한 치료 효과)”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나노베지클(미세소포체)=미생물에 존재하는 세포 간 신호전달 물질로, 인간과 동물의 세포 간 신호전달 물질은 엑소좀, 식물의 세포 간 신호전달 물질은 미세소낭으로 불린다. 나노베지클은 미생물을 통한 신약 개발을 위한 세포 제어 기술의 핵심이며, 미생물로부터 분리•정제하는 추출 과정이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