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일련번호 제도가 올해 말 행정처분 유예조치가 만료된 후 내년 1월부터 예정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이 국회에서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긴 했지만 사실 이미 제도 시행을 위한 여러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꾸준히 반대를 해온 의약품유통업계의 반발이 주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련번호 제도 시행을 위한 정부의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묶음번호(어그리게이션)의 경우 지난 1차 묶음번호 시범사업이 끝난 후 전 제약사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2차 시범사업 결과, 묶음번호 부착률은 30%에서 50%로 상향된 것으로 전해졌다.
복지부는 2차 시범사업 결과가 8월 중 도출되면 가이드라인 개정 등 문제점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하지만 여전히 유통업계가 요구한 묶음번호 표준화·법제화와는 거리가 있는 모습이다.
또한 그동안 유통업계가 참여하는 제도개선 회의가 본회의 1회, 실무협의회 7회 열렸다.
그동안 이어지지 않았던 제도개선 회의도 조만간 재개돼 묶음번호 시범사업 결과를 비롯한 일련번호 관련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상황들을 고려할 때 내년 1월 일련번호 제도 시행은 예정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이에 대해 의약품유통업계는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면서도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여전히 일련번호 제도 시행에 대해 회의적이고 반대를 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예전에 비해 반발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고 토로했다.
이어 “정부의 행정처분 유예조치까지 끌어내고 시범사업까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뚜렷한 액션을 취하지 않는다면 제도 시행을 막을 수 있는 별다른 방법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