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마퇴본부, 마약 극복 위해 손 잡는다
현 2개 재활센터 전국적 확대·직원 처우 개선 등 추진
최윤수 기자 jjysc022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11-09 06:00   수정 2022.11.11 16:14

▲김필여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이사장

최근 마약 관련 이슈가 불거짐에 따라,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이사장 김필여)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손을 모아 국내 마약 극복에 나섰다. 두 기관은 함께 ‘마약 재활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해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입 전문기자단과 진행한 간담회를 통해 김필여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이하 마퇴본부) 이사장은 대한민국이 다시 ‘마약청정국’이라는 타이틀을 되찾기 위해 재활센터를 필두로, 직원 처우 개선과 함께 마약퇴치 운동업무 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김 이사장은 “우리나라는 이제 마약 청정국이라는 지위를 잃었다”며 “정부에서도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한 상태이며, 이에 맞춰 대안을 세워 대비하고 행동에 나서야 한다. 마퇴본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마퇴본부도 어느 덧 30년이라는 세월을 맞이했다. 비교적 젊은 축에 속하는 제가 이사장에 선출된 것도 더 열심히 일하는 소명으로 받아들이고, 30년이라는 세월을 견뎌낸 마퇴본부의 현 상황을 진단함과 동시에 개척에 힘쓰려 한다”고 말했다.
 
이 날 김 이사장의 설명에 따르면, 마약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겉으로 들어 난 부분만이 아닌 숨겨진 부분까지 추정해서 대책을 세워야 한다. 즉 단순 마약사범의 검거 및 단속 같은 형사법적인 제도로 다스릴 것이 아니라, 마약으로 고통받고 있는 중독자로서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는 사람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김 이사장은 “더 이상 늪에 빠지지 않고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그런 목표를 세워 접근해야 한다”며 “마약 중독자를 비롯해 이들 가족, 사회적 여러 분야에서 도움을 주고 일상으로 회복할 수 있는 일에 충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마퇴본부는 식약처와 함께 마약 관련 ‘365 콜센터’ 출범을 준비중에 있다.
 
김 이사장은 “마퇴본부는 오랜 기간동안 식약처에 미약관련 365 콜센터 개설을 요청해 왔다”며 “이번에 식약처의 주도로 사업안이 제출됐다”고 말했다.
 
이어 “마약류에 대한 욕구가 가장 많이 생기는 시간은 바로 심야시간대”라며 “심야시간에는 도움을 줄 수 있는 인력들이 모두 퇴근한 후이기 때문에, 보다 원활한 상담이나 도움을 받을 수 없다. 이런 사례들을 극복하기 위한 시스템이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식약처에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식약처 또한 마퇴본부의 사정에 공감하고 있었다. 김 이사장은 “식약처 사업으로 예산이 편성되었으며, 준비기간을 고려해 내년 7월이면 사업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예산도 7억 3천만 원 정도 편성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오유경 처장이 마퇴본부에 직접 방문해 대화를 나누었다고 전한 김 이사장은 “오유경 처장은 마퇴본부의 업무와 정책에 대한 포용적인 입장을 보였다”며 “두 가지 중점 사업 사안을 오유경 처장에게 직접 전달했고, 이에 관한 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필여 이사장이 전달한 사업에는 △재활센터 확대 △직원 처우 개선 등이 포함됐다.
 
김 이사장은 “재활센터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현재 서울과 부산에만 집중되어 있다”며 “전국적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식약처에 설명했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 수원, 춘천, 대전, 대구, 광주에 재활센터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국회에도 제출했으며, 이제 광역으로도 수도권과 호남권, 충청권에는 재활센터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하려고 한다”꼬 덧붙였다.
 
배경 설명으로 “의무교육을 받아야하는 사람들의 경우 재활센터가 서울이나 부산에 국한되어 있다 보니 접근성에 문제가 있다”며 “5일 연속 프로그램을 수료하는데 있어 지방 거주인들의 겪고 있는 어려움을 생각한다면, 찾아가는 대국민 서비스 차원에서 재활센터를 전국적으로 확장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언급했다.
 
이 외에도 김 이사장은 직원 처우 개선이 시급하며, 필시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국고로 지원받고 있는 예산에는 주입급 직원에 대한 예산은 포함되어 있지만, 선임급에 대한 지원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에 대한 불만이 폭주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된 예산 내용을 식약처에 요청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매년 인건비는 상승하고 있는데, 이를 단순히 후원금으로 해결하려고 하다 보니 지부의 재정에 어려움이 생기고 있다”며 “인건비는 사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국고 지원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마약 재활은 국가 사업인 만큼, 지원이 필요하다”며 “현재 겪고 있는 지부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선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어필하려 한다”고 부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