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산후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정작 산후우울증을 전문적으로 상담 치료하는 센터는 전국에 6개소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 검토 결과, 산후우울증을 전문적으로 상담 치료하는 센터는 전국에 6개소밖에 안돼 지역 편중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복지부의 '2021년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의하면, 출산 후 산후우울감을 경험한 비율은 52.6%로 2018년 조사 결과와 비교해 2.3%p 증가했다. 또 산후우울 위험군은 42.7%로 2018년 대비 8.8%p 증가했다. 산모의 절반 이상이 산후우울감을 겪고, 그 중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도 꽤 높은 것.
현재 각 지역 보건소에서는 산후우울증 선별검사와 간단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고위험군으로 판정될 경우, 정신건강복지센터나 의료기관에 연계한다.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산후우울증으로 상담을 받은 인원은 2020년에는 1만1528명, 2021년 1만2838명, 2022년 6월 기준 6888명이다. 하지만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주요 업무는 중증정신질환자의 사례관리로 산후우울증만을 전담으로 하는 전문 상담원은 별도로 두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복지부는 2018년부터 난임·우울증 상담센터를 설치해 난임과 산전·후 우울증을 겪는 부부의 심리·정서적 지원을 전문적으로 제공 중이다.
전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에서 상담을 받은 임신부와 산모는 2018년 499명, 2019년 1만5364명, 2020년 1만5761명, 2021년 2만1392명, 2022년 8월 기준 1만7155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하지만 현재 난임·우울증 상담센터는 전국에 6개소밖에 없다. 지역 편중이 심각해 각 지역에 사는 산모들의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게 인 의원 설명이다.
각 상담센터 인력은 중앙센터(국립중앙의료원) 10명을 제외하면 모두 5명뿐이다. 산후우울증 상담은 집단상담, 온라인상담도 병행하고 있지만 적은 인력으로 인해 상담원의 업무 부담이 매우 크다.
인재근 의원은 “산후우울증은 많은 산모들이 겪고 심각한 경우 극단적인 선택까지 할 정도로 심각한 사회 문제”라며 “난임·우울증상담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 지정해 지역 편중을 줄인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산모들이 산후우울증 상담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계 전문가들은 사회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고대구로병원 산부인과 조금준 교수는 “분만 후 관리는 산전관리 못지않게 중요하다”며 “산후우울증을 개인의 문제로 치부할 게 아니라 종합적으로 예방, 관리할 수 있도록 정부와 의료계가 힘을 모아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