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연일 '최다'…10명 중 8명 '60세 이상'
질병청, 코로나19 예방접종전문위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 심의 결과 공개
‘위중증’ 고령층 비율, 10월2주 64.7%→10월4주 74.2%→11월2주 82.1%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11-18 06:00   수정 2021.11.18 08:12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연일 최다 기록을 경신하는 가운데, 위중증 환자 10명 중 8명이 60세 이상 고령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또한 빠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17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통해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심의 결과, 최근 델타 변이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서 돌파감염이 늘어나고 있고, 특히 고령층에서 중증환자와 사망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며 “60세 이상 고위험군과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종사자 등은 기본접종 완료 후 4개월부터 추가접종을 권장한다”고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예방접종위원회는 지난 16일 코로나19 백신 분야 전문가의 사전 자문 내용과 국내외 자료를 검토해 국내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과 모더나 백신 접종대상 변경에 대해 심의했다. 

그 결과 추가접종 간격을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에서 5개월로 앞당기고, 60세 이상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4개월부터 추가접종을 권고하도록 결정했다. 30세 미만 연령에게는 모더나 백신 접종을 제한하는 대신 화이자 백신을 권고키로 했다.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방역수칙 완화와 국민의 이동량 증가로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전파 위험은 빠르게 늘고 있다. 

일일 평균 중증환자 규모는 10월4주 333명에서 11월1주 365명, 11월2주 447명으로 2주만에 114명이 늘었고, 위중증 환자 중 고령층 비율 역시 10월2주 64.7%에서 10월4주 74.2%, 11월2주 82.1%로 한달 만에 17.4%가 급증했다. 17일 0시 기준 위중증 환자 수는 522명으로, 이 중 430명 안팎의 환자가 60세 이상인 셈이다.     

반면 코로나19 백신 기본접종 후 획득한 감염예방효과와 중증 및 사망에 대한 예방효과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자 백신 기본접종 완료자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기본접종 완료 후 약 5개월인 146일 이후부터 확진율이 늘어났고, 고령층일수록 돌파감염도 빈번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이스라엘에서는 화이자 백신 2회 접종을 완료한 후 5개월 이상이 경과한 60세 이상 접종자 113만8,0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추가접종 시 확진율은 10분의1, 중증화율은 20분의1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에 감염된 기본접종 완료자의 위중증률도 60세 이상이 40~59세보다 10배 이상 높았다. 기본접종 완료 146일이 지나면 확진율은 18~39세 1.67배, 40~59세 2.22배, 60세 이상 2.76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50대 및 우선접종직업군(18~49세)의 추가접종간격을 현행 6개월에서 5개월(150일)로 단축하고, 중증 및 사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고령층,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 및 기저질환자 등에게는 기본접종 완료 후 4개월(120일)에 추가접종을 권고했다. 

최은화 예방접종전문위원장은 혹시 모를 추가접종 단축으로 인한 안전성 우려에 대해 “‘추가접종 시 2차 접종과 이상반응 발생률이 비슷하다’고 이미 보고됐으며, 추가접종 간격 단축으로 이상반응이 증가한다는 보고는 아직까지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 국립보건원은 2차 접종 후 3차 접종 간격을 12주로 했을 때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차이가 없었다며, 기본접종과 추가접종 간 최소 접종 간격을 12주로 결정한 바 있다.

위원회는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게 기본접종 완료 후 4주째부터 예방접종 시 이상반응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근거로, 백신접종 기간을 4개월 또는 5개월로 앞당겨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란 결론을 내렸다고 전했다. 

최 위원장은 “우리나라 외에도 헝가리, 벨기에도 4개월의 추가접종 간격을 두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5개월이 경과된 후 추가접종을 시행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추가접종 단축을 예외적인 상황으로 볼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