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우울감과 자살충동을 호소하는 대학생이 늘어난 가운데, 음주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이같은 현상이 두드러져 주의가 요구된다. 대학생 음주와 자살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현장)은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대학생 음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대학생 음주 행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8~10월 전국 대학생 2,9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후 음주행태 및 건강상태 등을 질문했다.
우선 음주빈도는 코로나19로 변화가 ‘있다’고 응답한 대학생은 50.9%였으며, 이 중 ‘한 달에 2회 이상’ 음주하는 빈도는 코로나19 이전 74.7%에서 코로나19 이후 28.8%로 약 45.9%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량은 코로나19로 변화가 ‘있다’고 응답한 대학생은 45.9%로 확인됐다. 이 중 한 번의 술자리에서 1~2잔 마신다고 응답한 사람은 코로나19 이전 9.6%에서 코로나19 이후 32.7%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음주장소 조사 결과, 코로나19로 변화가 ‘있다’고 응답한 대학생은 5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중 ‘주점‧호프집’이 63.6%에서 3.3%로 가장 크게 감소한 반면, ‘자신의 집’이라고 답한 사람은 8.0%에서 47.6%로 가장 크게 늘어났다.
또한 올해 7월 성인 전체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공원, 캠퍼스 등 공공장소에서 음주하는 경우는 코로나19 이후 0.5%로 매우 낮았으나, 이번 대학생 조사에서는 코로나19 이전 4.3%에서 11.5%로 약 6.2%p 증가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대학생들의 공공장소 음주가 증가한 것을 보여준 셈이다.
음주상대는 전체 응답자 중 42.6%가 음주상대에 변화가 ‘있다’고 답했으며, 혼술을 하는 대학생은 5.3%에서 48.3%로 43.0%p 증가했고, 주로 친구와 음주하는 대학생은 72.6%에서 10.5%로 62.1%p 감소했다.
주로 마시는 주류는 성인의 경우 16.5%만 변화한 반면, 대학생들의 경우 23.5%가 코로나19 이후 변했다고 답해 약 7.0%p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맥주(22.0%→39.9%), 와인(2.2%→12.3%)의 증가폭이 성인보다 적고, 대학생의 경우 특징적으로 리큐르가 코로나19 전후 5.4%에서 9.7%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과 자살 충동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응답자의 19.7%는 코로나19 전후 우울감이 증가했으며, 최근 1년간 자살생각을 한 적 있다고 응답한 대학생은 16.3%로 성인에 비해 약 2.8%p 높았다.
자살생각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 중 코로나19 전후로 자살생각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대학생은 50.2%로, 성인 38.5%에 비해 약 11.7%p 높게 나타났다.
최근 20대 여성의 자살률이 높아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해당 조사결과 20대 여자대학생의 자살 생각은 18.0%로 남자 대학생(14.5%), 성인(13.5%)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문제음주(음주빈도, 음주량, 음주로 인한 폐해)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 음주와 자살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건강증진개발원 조현장 원장은 “코로나19로 대학생 음주는 감소했지만 식당 영업시간 및 인원 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으로 대학생들이 공원, 캠퍼스 등 공공장소에서 음주를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공공장소 음주는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고, 금주구역으로 지정된 장소에서 음주하는 등 위반 행위가 이뤄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며 “대학생 조사결과 문제음주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건강증진개발원과 복지부는 대학생의 음주폐해 심각성을 알리고, 신체건강뿐만 아니라 정신건강까지 증진할 수 있는 예방활동을 적극 펼치겠다”고 덧붙였다.
복지부와 개발원은 11월 음주폐해예방의 달을 맞아 음주폐해예방 캠페인의 일환으로 절주캐릭터를 활용한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제작해 배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