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거진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백혈병을 유발한다는 논란은 근거가 없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2일 질병관리청 정례브리핑에서 대한혈액학회 자문 등을 통해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이 백혈병이 유발 또는 촉발한다는 근거가 없다고 설명했다.
대한혈액학회 학술의사인 김진석 연세대 의대 교수는 “접종 후 단기간 내 백혈병 발생은 기존의 이론과 일치하지 않으며, 코로나19 백신 또는 인플루엔자 백신 등 기존 백신과 백혈병의 인과성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국가 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매년 약 3,500여명의 환자가 새롭게 백혈병 진단을 받고 있고, 60세 이후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백혈병 발생에 대한 우려는 불필요한 만큼, 개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해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김 교수는 “현재까지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일부 유전적 소인과 벤젠과 같은 발암물질, 항암제와 같은 독성물질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원인과 발생기간에 대해 잘 알려진 항암제에 경우 항암제 노출 수년 이후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접종 이후 수일에서 수개월 내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맞지 않다”며 “백혈병은 진단되기 1개월 전에 증상이 시작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대부분 3개월 이내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건강하다가 갑자기 백혈병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고 부연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관계자는 “급성백혈병과 관련 국내 이상반응 보고건수는 매우 미미한 수준인데다, 현재까지 미국, 유럽 등에서도 백신과의 인과성은 입증되지 않았다”며 “국내 이상반응 사례 및 해외 조치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안전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추진단은 향후에도 관련 학회 및 식약처와 함께 국외 최신동향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감시를 지속하면서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검토 및 정보 공유를 지속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