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규제와 금연, 또 하나의 코로나19 생활방역 실천
금연이슈&포럼 2020년 첫 호 발간…코로나19와 담배 사용과의 관련성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10-08 10:00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금연이슈&포럼 2020년 첫 호 발간을 통해 담배 사용과 코로나19의 관련성을 알린다고 밝혔다. 

코로나19의 유행이 지속되는 가운데, 담배 사용이 코로나19 감염의 위험 요인이라는 국내․외 연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어, 이러한 사실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한 목적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코로나19로 중증 질환에 걸릴 확률이 더 높으므로 즉각 금연 할 것을 권고했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우리나라 중앙방역대책본부 역시 코로나19의 위험 요인으로 흡연을 포함시킨 바 있다.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다수 발표됐고, 이를 ‘이슈 분석’에서 다루었다. ‘청소년 건강저널(Journal of Adolescent Health)’에 실린 한 연구에서는 흡연하는 청년들이 흡연하지 않는 청년에 비해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이 5배 이상 높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또한, 전자담배와 일반담배를 함께 피웠다고 응답한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해 코로나19로 진단될 가능성이 7배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와 국립보건연구원에서도 담배연기 및 뇌졸중, 당뇨병에 의해 세포 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수용체인 ACE2*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중증 질환 위험 요인인 뇌졸중, 담배연기 및 당뇨에 노출된 혈관 및 뇌 성상세포와 뇌 조직에서 나타난 변화를 분석했고, 그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 수용체 역할을 하는 ACE2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밖에 담배 사용과 코로나19와 관련한 국내․외 최신 정책과 연구, 시장 동향도 소개했으며, 종합적인 시사점과 향후 방향을 집필했다. 

정책 동향에서는 스페인이 2020년 8월 14일부터 공공장소 내 흡연을 금지한다는 내용, 미국이 가향 전자담배 판매를 금지하고 매사추세츠주에서 금연서비스 확대 및 교육 캠페인을 실시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연구 동향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의학 교수이자 담배통제연구 및 교육센터 소장인 Stanton Glantz의 흡연과 코로나19 진행과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를 비롯해 담배 사용과 코로나19 감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총 4편을 소개했다.

Stanton Glantz 교수의 메타 분석 연구 결과에서는 흡연 경험이 있는 코로나19 환자 중 29.8%가 증상 악화로 이어진 반면, 금연한 코로나19 환자의 경우 17.6%만이 코로나19가 악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시장 동향에서는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서 발표한 21개국의 니코틴 함유 제품 사용률 분석 결과와 코로나19가 우리나라 담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소개하고,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2020년 상반기 담배 판매량도 함께 제시했다.

논설에서는 국가금연지원센터 공재형 선임전문원은 정보통신망을 통한 담배 및 흡연전용기구의 판매 모니터링 강화, 비대면 시대에 맞는 금연서비스의 제공, 담배 사용과 코로나19와 관련된 정보 확산 및 금연 독려를 위한 홍보 강화 등이 필요함을 서술했다.

한편, 금연이슈&포럼은 그간 발간되던 금연이슈리포트와 금연정책포럼을 하나로 합친 발간물로, 2020년에 총 4호 발간을 계획하고 있다.

발간호별 주제와 관련된 최신의 정보를 포함하여 내용을 구성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영상(모션그래픽)을 별도로 제작했다.

금연이슈리포트와 금연정책포럼 지난 호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누리집과 국가금연지원센터 금연두드림 누리집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정기구독은 이메일(nsk@khealth.or.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조인성 원장은 "담배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담배는 건강에 유해하며, 코로나19 유행을 차단하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지금부터라도 흡연을 시작하지 말고 금연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금연이슈&포럼이 금연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장과 정책 관계자, 나아가 일반 국민들에게도 유용한 자료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