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위 첫 국감 화두는 '상온 노출 독감백신'으로, 유통부터 백신 안전성, 접종까지 폭넓은 진단이 이뤄졌다.
지난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국정감사는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김민석 보건복지위원장은 "독감백신에 대해서는 여야를 불문하고 많은 말씀이 있었다"면서 "정부는 백신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깊고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정리했다.
남인순 위원(더불어민주당, 이하 민주당)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질의를 통해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이 상온에 노출됐을 때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이와 함께 국가예방접종(NIP)을 중단했음에도 의료기관에서 해당 백신을 접종해 3천건 넘는 사례가 발생한 점을 들어 정부 신뢰도 하락을 지적하면서 대책을 촉구했다.
신현영 위원(민주당)은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국내 생백신 콜드체인 유지관리 보고서를 토대로 백신 상온노출과 의료기관 접종에 대해 종합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으며, 백신관리와 폐기, 이상반응 관리체계를 진단해야 한다고 짚었다.
전봉민 위원(국민의힘)은 백신 상온 노출을 일으킨 신성약품이 투찰금액 2순위였음에도 국가백신조달계약업체로 선정된 것을 지적하면서 업체 담함 의혹을 제기했으며, 이에 박능후 복지부 장관이 문제를 인지하고 독과점 의심사례를 면밀히 분석하고 개선하겠다고 답벼했다.
김미애 위원(국민의힘)은 상온노출 백신 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제조·포장 과정에 대한 재정비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2012년 향정신성의약품에 도입된 RFID 의무화를 백신에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해 정은경 청장의 공감과 검토계획 답변을 들었다.
'상온 백신 전량 폐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이뤄지기도 했다.
강기윤 위원(국민의힘)은 정부의 품질검사 확실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2천개 샘플조사로는 부족하다며, 전수조사 또는 전량 폐기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신현영 위원(민주당)은 전량폐기는 과도한 의견으로, 정부 품질검사에서 안전성이 확보됐고 효력이 떨어진 백신을 이미 수거하는 상황에서 전량폐기는 국민불안감만 유발한다고 반박했다.
이 과정에서 두 위원과 박능후 장관은 국민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면 해당 상온 노출 백신을 직접 맞겠다며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이날 국감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실시한 검사를 근거로 상온 백신의 안전성을 거듭 강조했다.
안전성 시험기준 적합 여부에 따라 2주 동안 엄격한 시험을 거쳐 대부분의 전문가들로부터 안전성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확인받았으며, 효력이 떨어지는 일부 수량은 수거조치중이라는 설명이다.
정은경 청장은 백신 유통과정에서의 관리기준과 접종 의료기관 관리에 대한 미흡을 인정하면서 NIP 조달방식과 콜드체인 유통, 의료기관 접종 전반을 점검하고, 복지부·질병청·식약처 공동으로 개선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초부터 연구용역을 통해 외국의 사례를 검토하고 있으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백신 조달계약과 공급체계에 대한 종합적 개편안을 준비하겠다는 것.
상온노출 독감백신에 대한 이슈는 오늘(8일) 오후 신성약품 김진문 대표가 출석해 증인신문을 받을 예정이며, 오는 13일 식약처 국감이 계획된 만큼 계속해서 독감백신 품질과 관리체계에 대한 점검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