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이 범부처 협의와 연구용역을 통해 백신 조달·공급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
<사진>은 7일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남인순 위원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
남인순 위원(더불어민주당)은 "상온 노출된 (독감)백신 수거분을 제외한 464만 도즈의 효력·안전성은 문제가 없는가" 물었다.
이에 정은경 청장은 "다양한 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안전성 문제는 없고, 효력에는 문제가 일부 있을 것으로 보이는 88만 도즈는 일단 수거조치한다"며 "나머지 백신은 효력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 다음주부터 접종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남 위원은 또한 "질병청 컨트럴타워 아니냐 평가되고 있는데, 질병청은 상온 노출 의심사례가 없다고 했다가 접종사례 3천건이 넘게 나왔고, NIP(국가예방접종) 중단 결정 이후 의료기관에서 접종을 시행해서 신뢰가 가능하냐 의혹이 생기고 있다. 향후 전주기적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는가" 질의했다.
정 청장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예방접종 조달방식, 콜드체인 유통, 의료기관 접종 전반에 대한 점검하고 범부처차원(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질병관리청) 개선계획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백신 조달 계약과 관련해서는 올해 초부터 연구용역을 통해 다른 나라 방식을 함께 검토하고 있고, 이번 사태를 계기로 평가해서 백신 조달 계약과 백신 공급체계에 대해 개편안을 마련하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