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달을 통해 구입하는 공적마스크 비용은 개당 900 ~ 1,000원이고, 약국은 유통업체로부터 1,100원에 공급받아 국민들에게 1,500원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기획재정부는 '마스크 가격이 대만보다 비싸다'는 내용을 지적한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대만에서 공급하는 마스크와 우리나라에서 공급하는 마스크는 다른 종류다'라는 해명과 함께 우리나라의 마스크 공급 구조에 대해 설명했다.
정부는 "대만이 약국을 통해 1인당 3매씩, 200원 수준으로 공급하는 마스크는 우리나라와 같은 고품질의 KF94 마스크가 아니라,ㅍ수술용 마스크(국내 덴탈마스크)에 해당되고, 대만의 N95 마스크(KF94와 유사)는 의료인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사용 중이며, 일반인들은 사용이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또 "국내 수술용 마스크(덴탈마스크) 가격은 약 150원으로 대만에 비해 저렴한 수준이다"고 덧붙였다.
특히 정부는 국내 보건용 마스크는 개당 900원~1,000원에 조달해 계약하고, 유통업체가 1,100원(부가세 90~100원, 인건비·물류비 등 포함)에 약국에 공급하고, 약국은 국민들에게 1,500원(인건비·부가세 등 포함)에 판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약국보다는 주민센터 등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보도내용에 대해 "공적마스크 공급처를 지자체(읍·면·동사무소 전국 3,510개소)로 한정할 경우, 현 공적 판매처(2만6천개소)에 비해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지자체를 통해 직접 배포시, 마스크 실수요에 빠져있는 대상까지 무차별 균등 배포하게 되어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상대적으로 과소공급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추경으로 마스크 직접 지원 필요'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추경안은 코로나19 파급영향 최소화 및 조기 종식을 위한 것으로 국민들에 대한 마스크 직접지원 사업보다는 감염병 방역체계 강화 및 코로나19 피해 대응을 위한 민생안정과 경제활력 보강에 투입될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