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브스루', 쉬운 우리말 '승차 진료(검진)'로
'의사 환자'는 '의심 환자', '코호트 격리'는 '동일 집단 격리'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3-15 17:40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 이하 국어원)은 코로나19 관련해 국민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어려운 외국어 '드라이브스루'를 쉬운 우리말 '승차 진료(또는 승차 검진)'으로 제시했다. 


승차 진료(드라이브스루)는 코로나19 확진 여부를 알기 위해 차에 탄 채 안전하게 문진, 검진, 검체 채취, 차량소독 등을 하는 것으로 환자와 의료진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검사시간을 줄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검사할 수 있다.

국내에서 2020년 2월부터 시행한 제도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늘고 있는 외국 정부와 해외 주요 언론으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국어원은 새말 모임을 통해 '코호트 격리→동일 집단 격리', '팬데믹→(감염병) 세계적 유행', '에피데믹→(감염병) 유행', '비말→침방울', '진단 키트→진단 도구(모음)', '진단 (도구) 꾸러미', '의사 환자→의심 환자' 등을 제안한 바 있다.

앞으로도 문체부는 어려운 외국어 대신에 국민들이 알기 쉬운 우리말 사용을 적극 권장해 나간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