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이 확산되고 있는 정부청사에 대해 방역과 근무변화 등 대책이 마련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노홍인 1통제관은 14일 정세균 본부장(국무총리) 주재로 대구광역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내용을 브리핑했다.
정부청사관리본부(본부장 한창섭)는 정부청사 내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14일부터 청사 내부 동 간 연결통로 및 옥상정원을 완전 차단하는 등 방역을 강화하고, 입주부처 및 보건당국과 협조체계를 공고히 해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지난 2월 23일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경보가 심각단계로 격상된 직후에 정부청사 코로나19 대책반(반장 본부장, 4개팀)을 설치하고, 세종청사 등 전국 11개 청사에 열화상 카메라 운용 및 방역 강화, 어린이집 휴원 및 체육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일시 중지한 바 있다.
아울러, 확진자 등 발생 시 대응요령을 부처에 전파해 실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정부청사관리본부-부처-보건소가 긴밀히 협조해 출입통제, 긴급방역 및 해당 부서 근무자 격리조치 등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또한, 확진자의 감염경로가 조속히 파악될 수 있도록 CCTV 및 출입 시스템을 통한 동선파악 등 보건당국의 역학조사 업무를 최대한 지원하고 있다.
이에 더해 지난 13일에는 세종시와 협의해ㅔ 청사 인근에 승차 검진 방식의 선별진료소(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를 설치해 진단검사 대상 공무원들에 대한 신속한 검체채취를 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앞서 11일부터는 열화상 카메라를 확대 운영(48대→69대, 세종 31대)하고 있으며, 감염예방을 위해 안면인식의 출입방식을 잠정 중단한 바 있다.
아울러, 청사 소독도 주 2회에서 주 3회로 늘리고 사회적 거리두기의 운동의 일환으로 구내식당 점심시간 시차 이용, 식사 시 한쪽 방향 앉기 등도 병행하고 있다.
노홍인 통제관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부처 차원에서 유연근무제 확대 실시 등 일하는 방식 개선, 밀집 근무 상황 개선 등의 노력을 통해 코로나19가 조기 종식될 수 있도록 입주부처와 협업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는 공직사회에서의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유연근무 이행지침을 지난 12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번 지침은 앞서 나온 코로나19 관련 공무원 복무관리 지침을 보다 강화한 것으로 사무실 밀집도를 낮추기 위해 부서별로 적정비율을 정해 의무적으로 교대 원격근무를 시행하는 것이 골자다.
원격근무자의 비율은 코로나19 대응 등 대국민 서비스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기관장이 정하고, 국·과장 등 관리자는 필수요원으로 지정해 정상근무 하도록 했다. 재택근무자는 업무수행에 차질이 없도록 업무전화 착신전환, GVPN 설치 등 재택근무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아울러 시차출퇴근제 활용, 점심시간 시차 운용 등 대인 접촉 최소화를 위한 조치와 함께 회의와 보고는 영상이나 서면으로 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도록 했다.
출근한 공무원들에 대해서는 부서별 보건관리자가 1일 2회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 여부를 확인해 부서장에게 보고하도록 하고, 조금이라도 증상이 있는 공무원은 출근하지 않고 집에 머무르면서 필요한 경우 보건당국의 검사를 받도록 했다.
정부 각 부처는 본 지침을 바탕으로 기관 사정에 맞게 자체 복무지침을 조속히 시행할 예정이다.
한편, 금융 관련 콜센터 방역 강화 계획에 대해서도 공개됐다.
지난 13일 금융당국은 전 금융업권과 함께 '금융권 콜센터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대책'을 발표했다.
금융당국은 상담원 3교대 근무 등을 적극 활용했 콜센터 사업장 내 밀집도를 기존 대비 절반 수준으로 낮출 것을 금융회사에 권고했고, 교대근무 등으로 콜센터 직원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고용유지 및 소득안정을 위해 최대한 노력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상담 대기시간 증가 등 예상되는 국민 불편에 대해 국민의 이해를 당부하는 홈페이지 및 ARS 안내를 시행할 예정으로, 국민께서도 코로나19 대응기간 동안은 시급하지 않은 상담 및 민원 전화는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