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마스크 공적 배분에 있어 전국 약국의 역할이 다시 한 번 강조됐다.
국회코로나19대책특별위원회(위원장 김진표)는 5일 오전 국회 본관 601호에서 대구경북 병상·의료시설 부족 현안보고와 마스크 공급 부족 현안보고를 각각 받았다.
이날 현안보고에서 정부는 특위 위원들로부터 마스크 공적 배분 방안에 대한 질문을 다수 받았다.
국무조정실 차영환 제2차장은 약국을 중심으로 공적 물량을 유통하는 방법으로 1주일에 1인 2매 판매, 출생연도에 따라 홀수/짝수날로 나눠 파는 방법 등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박대출 의원은 "약국을 중심으로 공적 물량을 유통하는 방법을 1주일에 1인 2매만 판매하고 출생연도에 따라 홀수·짝수날을 나눠 파는 방법을 검토중인가"라며 "효율적인 대책인지 모르겠다.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차영환 차장은 "(마스크 수급 문제는) 예상치못한 갑작스런 단계로 검토단계"라며 "오늘 오후 진행할 국무회의 결과에 따라 결정될 내용으로, 검토중인 상황으로 마스크 공급 대란 해소가 목표이다. 오늘 논의 결과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김용범 1차관은 약국이 마스크 공적 배포의 주요 거점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요양관리포털 시스템을 통한 이력조회 등 사재기 방지를 위한 대책이 준비중이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은 "현재 공적 배급의 물량도 파악이 안돼 국민이 불편해 하고 있어 방식을 바꿔줄 필요가 있다"며 "직접 찾아간 농협(배포처)에서도 하루 얼마나 물량이 들어오는지 몰라 국민이 마냥 줄서서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용범 차관은 "약국을 통한 공적 배포를 지금보다 더욱 중요하게 할 것"이라며 "전국 약국이 2만3천개가 있고, 심사평가원을 통해 현황을 단시간내 파악할 수 있어 공적 배분의 중심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차관은 "요양관리포털을 통한 이력관리시스템으로 누구도 몇매 이상을 살 수 없도록 관리할 계획"이라며 "농협과 우체국도 자체적 혹은 해당 시스템에 통합되도록 해 공적 배포 물량을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차관은 외부에 알려진 DUR(의약품안전정보시스템)을 통한 이력관리에 대해서는 "외부적으로 DUR로 알려졌지만, 바꾼게 아니라 처음부터 요양관리 포털시스템으로 접근했다"며 "다행히 약국-심평원 별도로 연결되는 별도의 시스템이 있어 접근하게 된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엄정하게 보면 DUR과 요양관리시스템은 다른데 광의로 해석할 수 있겠지만 처음부터 요양관리시스템으로 구상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