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우리나라 산모의 출산부터 산후조리까지 미역국 섭취를 통한 요오드 과다 섭취를 줄이기 위해 ‘산후조리 시, 요오드 적정섭취 실천 요령’ 정보를 제공한다고 2일 밝혔다.
요오드는 갑상선호르몬 생성에 필수적인 영양성분으로 하루 섭취 권장량도 있지만, 넘지 않도록 권고하는 상한섭취량(2.4mg)도 있다는 것이 식약처의 설명이다.
요오드 1일 섭취권장량은 0.15mg이며, 임신부는 0.24mg, 수유뷰는 0.34mg이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산모의 적정 요오드 섭취 정보 제공을 위해 지난해 우리나라 전국 5개 권역의 산모 1,054명을 대상으로 산후조리 기간 중 요오드 섭취실태를 조사했다.
조사대상은 병원, 산후조리원 등에서 갑상선 질환이 없는 출산 후 ~8주 사이의 산모로, 1일 평균 요오드 섭취량은 2.9mg으로 나타났다.
1일 평균 요오드 섭취량은 출산 후~2주(3.6mg), 3~4주(3.0mg), 5~6주(2.4mg), 7~8주(1.8mg)이다.
1일 평균 미역국 섭취빈도는 출산 후~2주(2.4회), 3~4주(1.9회), 5~8주(1.2회)이다.
전체 산모는 요오드 섭취 권장량을 만족하지만, 1~4주 일부 산모의 경우 요오드 상한섭취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회 등 전문가들은 "산모가 출산 후 1~4주 동안의 미역국 섭취로 인한 단기간 요오드 과다 섭취(상한섭취량 초과)는 건강한 성인의 경우 크게 우려할 사항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갑상선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임신·수유부의 경우에는 질환의 종류와 상태 등에 따라 위해영향(갑상샘 기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과 전문영양사의 상담을 통해 요오드 섭취 제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산후조리 시 미역국은 하루 2회 이내로 섭취하고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01 | 한미·HHP, 길리어드에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 |
02 | "제약바이오의 족쇄, 보툴리눔 톡신 규제 14... |
03 | "2상 진입" 온코닉테라퓨틱스, 췌장암 신약... |
04 | 일리아스바이오, 엑소좀 신약후보 'ILB-202'... |
05 | 에이비엘바이오, 미국 자회사 '네옥 바이오'... |
06 | "뇌를 지배하는 자, 시장을 지배한다" 뉴로... |
07 | 행복한 팜스터디, 수강약사 대상 오프라인 ... |
08 | 2024년 화장품 유해사례 1926건 대부분 '경... |
09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KSMCB 생명과학상 ... |
10 | 알콘, 보이체흐 미할리크 신임 비젼케어 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