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가 12월 말 '국가필수의약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을 기점으로 국가비축용 의약품 확보의 체계적 관리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자유한국당 김명연 의원의 국가비축용 의약품 관련 종합국정감사 서면질의에 이 같이 답변했다.
김명연 의원은 "현재 국가필수의약품은 총 몇 종이며 국가비축용 의약품 중 목표 비축량에 미달한 품목 현황이 어떻게 되는가"라며 "각 부처에서 비축량 확보에 실패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물었다.
식약처 의약품안전국이 확인한 국가필수의약품은 총 351종이며, 그중 국가비축용 의약품은 37종, 적정 비축량 미달 의약품은 19종으로 확인됐다.
의약품안전국은 "일선 병원에서 자체적으로 일정량을 보유하고 있거나, 코브라나 해파리 중독 해독제와 같이 국내 발생 가능성이 낮은 중독사고 대비 의약품은 비축량이 다소 낮다"며 "현재 국가필수의약품 중 국가비축용 의약품은 국방부 등 각 부처의 필요에 의해 개별 관리되고 있어 현황 파악에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고 파악했다.
의약품안전국은 "앞으로는 국가필수의약품 관리 총괄부처로서 국가비축용 의약품도 적정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앞으로 해당 부처에서 필요한 수량을 추가로 구매해 적정 수량을 확보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국가필수의약품 통합관리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관리방안 계획도 서면답변을 통해 공개됐다.
의약품안전국은 "올해 12월 말 '국가필수의약품 통합관리 시스템'이 구축되면, 각 부처가 개별적으로 비축‧관리 중인 국가비축용 의약품의 사용기한, 비축현황 등에 대해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고 전망했다.
더불어 "앞으로 이를 통해 국가비축용 의약품이 상시 적정량 확보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