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와 식약처가 백신자급화를 위한 국감질의에 대해 각각 '국가백신센터'와 '글로벌 백신지원단'을 내세웠다.
센터 구축을 완료해 중장기적 안정성을 강화하고, 현재 운영중인 지원단을 더욱 활성화한다는 설명이다.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과 식품의약품안전처 이의경 처장은 21일 종합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의 '백신 자급률 대책' 질의에 답변했다.
남인순 의원은 "정부가 백신 자급률을 높인다고 했는데, 복지부와 식약처의 목표는 오히려 축소되는 듯 하다"면서 "목표가 수정된 이유는 무엇인가" 물었다.
이에 이의경 처장은 "(전체 목표 중 영유아백신과 관련된) 영유아 대상자를 확보하기가 어렵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남 의원은 "그러한 상황이면 개발 못한다고 말하면 되는가"라며 "시험대상도 못 찾고 있고 백신을 개발해도 수입백신에 비해 싸서 이것이 백신 개발을 포기하게 만든다. 이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가" 답변을 요구했다.
박능후 장관은 "백신자급화를 위해 국가백신센터가 완공 예정이다"라면서 "센터가 완공되고 인원이 대폭 보강되는데 긴 기간이 필요하지만 활발히 준비중이다. 중장기로 보면 획기적으로 자급률이 올라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 장관은 "백신 하나 개발에 10~15년 정도를 보고 있다"면서 "즉각적 효과는 없을 수 있겠지만 착실히 진행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의경 처장은 "백신개발 과정 중 많은 규제가 있다"며 "개발부터 제품까지 컨설팅을 진행하는 '글로벌 백신 지원단(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을 운영중이다. 이를 더욱 활성화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