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기기 시장, 국산 비중 40% 미만
최도자 의원 "보건산업진흥원이 R&D 지원 등 나서야"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10-15 12:32   
국내의료기기 시장에서 국산 의료기기의 비중은 아직 40%에도 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른미래당 최도자 의원이 15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14년 약 5조원에서 2018년 약 6.8조원으로 약 36% 정도가 성장했다.

하지만 국산 의료기기의 점유율은 37.7%에서 37.3%로 줄어들었다.


의료기관 종별 국산 의료기기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상급병원으로 올라갈수록 국산제품의 사용을 기피했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외산 의료기기는 33,556대(91.8)를 보유한 반면, 국산 의료기기는 2,988대(8.2%)에 불과했다. 그리고 종합병원의 경우 외산 의료기기가 56,416대(80.1%), 국산 의료기기가 14,032대(19.9%)였으며, 일반병원의 경우 외산 의료기기가 33,249대(46.0%), 국산 의료기기가 39,084대(54.0%)였다.

국산 의료기기의 사용을 기피하는 요인으로는 제품의 성능부족(28.0%), 브랜드 신뢰도 부족(20.0%), 임상 검증 자료 부족(15.5%) 순으로 나타났다. 국산 의료기기의 성능향상과 함께 의료진들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위한 노력도 병행돼야 함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최도자 의원은 "정부가 의료기기 분야 사업을 육성할 의지를 표명하고 있지만, 아직 산업 환경은 척박하다"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보건산업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으로서, R&D 지원 등을 통해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견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