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심평원 "빅데이터 다국적사 등 사익 사용 차단 검토"
최도자 의원 '연구 결과 확인 미흡' 지적에 답변…민·형사상 책임 가능성도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10-14 12:39   
건보공단과 심평원이 공익적 빅데이터를 다국적사 등 사익을 목적으로 연구되는데 악용되지 않도록 제재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바른미래당 최도자 의원은 14일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정감사에서 의료정보 빅데이터 자료제공 현황을 통해 미흡한 결과확인을 지적했다.

최 의원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건보공단과 심평원의 빅데이터 활용 연구는 각각 2,136건(진행연구 1,053건 포함)과 442건인데, 제출이 136건(12.6%), 42건(9.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 의원은 "양 기관을 합쳐도 11.7%밖에 되지 않는 수준으로 공익적 목적 빅데이터 사용 목적 확인이 불분명하다"며 "결과물 관리가 너무 안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연구자들이 좋은 데이터로 돈벌이 활용을 할까 걱정된다"며 "외국계제약사들이 우리나라에서 약가를 더 받아내는데 기초자료가 돼서는 안 된다. 빅데이터가 공익이 아닌 제3자의 사적 이익을 위해 활용됐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보공단과 심평원은 이러한 지적을 수용하고 조치하겠다고 답변했다.

건보공단 김용익 이사장은 "미처 확인하지 못 했던 부분을 지적해주셨다"며 "연구비를 지급한 결과는 당연히 확인하는데, 자료제공의 결과물 제출은 미진했다. 이를 시정하고 공익 목적에 쓰여질 자료들이 사익적 목적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검토하고 조치하겠다"고 다짐했다.

김 이사장은 "연구외 목적에서 사용된 부분이있으면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심평원 김승택 원장은 "현재 서약서를 위반해 상업적으로 이용하거나 제3자가 이용하는 사항에 대한 제재조치가 없다"며 "규정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